시티즌citizen에서 네티즌netizen으로 시티즌citizen에서 네티즌netizen으로 나호열 아데이만투스가 그 때 중간에 끼어들면서 한마디 하였다. 「이것 보세요, 소크라테스님, 만약 당신을 향해서 이렇게 항의한다면 어떻게 하시겠어요. 즉 국민을 전연 행복하게 해주지 않고 있다. 그리고 그 이유를 개인 탓으로만 돌리고 있다. 말하자면 행복하.. 문화평론 2010.03.11
WWW WWW -디지털 시대의 연극 위기인가? 축복인가? 나 호 열 영국하면 우리는 세익스피어를 떠올리고 내용은 알지 못해도 세익스피어의 4대 비극 리어왕, 맥배드, 오델로, 햄릿을 외어낼 수 있을 만큼 세익스피어는 우리에게 낯익은 이름이다. 세익스피어의 탄생지 스트레드포드 어폰에이본은 세익스피어가.. 문화평론 2010.03.07
사진의 사유, 사유의 사진 사진의 사유, 사유의 사진 나호열 알타미라 동굴에 소를 그려 놓은 사람들이 떠난 후 繪畵는 오랫동안 사물과 인간의 관념을 드러내는 통로로 지배적인 역할을 수행해 왔다. 그러나 회화가 담당해 왔던 그 막중한 임무가 사진으로 옮겨지면서 사진은 생활 곳곳에 깊숙이 범람하는 이미지의 고향이 되.. 문화평론 2010.03.07
지역 예총의 역할과 과제 지역 예총의 역할과 과제 나호열(한국예총 정책연구위원장) Ⅰ.문화예술정책의 흐름 한 때 한국예총은 우리 예술계의 표상으로서 우리나라 문화예술계를 대표하는 단체로 자리매김 했었다. 그러나 냉정하게 오늘의 한국예총은 화려했던 과거의 위상을 되살리기에는 역부족인 것처럼 보인다. 그 원인.. 문화평론 2010.02.01
연극인 - 놀이의 원형을 찾는 사람들 연극인 - 놀이의 원형을 찾는 사람들 나 호 열 여자가 제 이름으로 불리지 않았던 조선시대에 뚜렷한 이름을 남긴 세 여인이 있다. 황진이, 허난설헌, 신사임당이다. 연극 󰡐�WWW󰡑�는 이들 세 여인을 온라인 상으로 불러내 현대 부부의 모습을 반추한다. 역사학자이자 .. 문화평론 2009.12.29
디지털. 야누스의 두 얼굴 디지털. 야누스의 두 얼굴 나 호 열 1. 들어가는 글 -日新又日新의 세계 오늘날 우리는 넘실대는 정보의 바다에 둘러싸여 있다. 대량으로 쏟아져 들어오는 정보 는 우리를 방황하게 만든다. 피터 드러커Peter F Drucker는 『자본주의 이후의 사회Post-Capitalist Society』에서 지식을 '행동을 하는데 효과가 있는 .. 문화평론 2009.12.29
도봉구 문화 발전을 위한 제언 도봉구 문화 발전을 위한 제언 나호열(시인, 한국예총 정책연구위원장 ) 1. '문화'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더 이상의 설명이 필요하지 않다. 수많은 '문화'에 대한 학문적 정의를 한 마디로 요약한다면 '인간다움을 실현하고 축적하는 행위'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경제적 풍요가 반드시 문화의 융성을 가.. 문화평론 2009.12.13
사실과 진실의 혼돈을 극복해야 사진 MBC 뉴스 사실과 진실의 혼돈을 극복해야 나호열 (한국예총 정책연구위원장) 우리의 의식에는 유전무죄, 무전유죄라는 냉소가 스며들어 있다. 과거 군부독재시절의 법은 반민주적이었기 때문에 그런 상황에의 저항은 마땅한 것으로 받아들여졌다. 그렇기 때문에 법은 존중의 대상이 아니라 지켜.. 문화평론 2009.10.22
재현의 의미를 묻는 사진 예술 (1) / 나호열 재현의 의미를 묻는 사진 예술 (1) / 나호열 우리가 스쳐 보내는 수많은 사물들, 풍경, 인물, 장소를 작가는 자신만의 독특한 눈으로 재해석할 수 있어야 한다. 즉, 대상물이 지니는 히스토리를 작가의 눈으로 읽어내는 것, 숨겨져 있는 사물의 히스토리를 발견하는 것이 바로 사진예술이다. - 구본창 사.. 문화평론 2009.10.16
TV 방송 수신료 현실화, 국민의 공감을 얻어야 한다 TV 방송 수신료 현실화, 국민의 공감을 얻어야 한다 나호열 ( 한국예총 정책연구위원장, 시인) 30 여 년 동안 한 번의 인상도 없이 유지되어 온 공공요금 TV 방송 수신료가 현실화 되어야 한다는 것에 이의를 달 사람은 없을 것이다. 이는 너무도 보편적인 상식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는 문제이다. 이와 동.. 문화평론 2009.09.27
예술과 예술인의 사회적 기능과 역할 예술과 예술인의 사회적 기능과 역할 나호열 (한국예총 정책연구위원장) 1. 들어가는 말 전 세계적인 경제 불황은 삶의 모습을 송두리째 뒤바꿔 놓았다. 이러한 현상은 우리나라도 예외가 아니어서 어느 누구를 가릴 것 없이 암울한 현실을 바라보는 형국에 놓여 있다. 이러한 때에, 각박한 현실에 희.. 문화평론 2009.07.05
지역문화진흥법 제정, 무엇이 문제인가? 지역문화진흥법 제정, 무엇이 문제인가? 나호열 (한국예총 정책연구위원장) Ⅰ. 서론 지역문화진흥법은 지난 10 여년에 걸쳐 수많은 논의와 검토가 이루어졌으나 실제로 다수의 예술인 및 단체의 관심과 지지를 받았다고는 말하기 힘들다. 2007년 이광철 전 국회의원이 발의한 법안이 자동 폐기된 이후.. 문화평론 2009.07.05
누가 전문 예술가(인)인가 ? 누가 전문 예술가(인)인가 ? - 문학 장르의 여러 문제 나호열 (시인, 한국예총 정책연구위원장 ) 1. 예술과 예술가(인)의 정의를 내리는 것은 무척 어려운 일이다. 그렇지만 역사적 논고를 통해 우리는 창작 행위, 소통, 향유의 통로가 열려져 있을 때 예술의 의미를 어렴풋이나마 알아차리게 된다. 거기.. 문화평론 2009.0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