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자의 호접몽

세상과 세상 사이의 꿈

모두 평화롭게! 기쁘게!

뭇별이 들려주는 이야기(마음글) 347

공간을 넘어 공감으로

[일사일언] 공간을 넘어 공감으로조규익 숭실대 명예교수입력 2025.01.10. 00:51   서울을 떠나던 날 절친에게 문자를 날렸다. ‘40년 애증의 공간 서울을 탈출하네. 방금 노마드의 천막을 걷어 나귀 등에 실었네. 에코팜에 이 천막을 둘러치고 잔명을 즐기다 그마저 해져 흙으로 돌아가면, 어렵사리 지탱해온 이 몸도 한 숟갈 거름 되어 대지 깊숙이 스며들고자 하네. 아듀!’젊은 시절엔 삶의 공간들을 제법 옮겨 다녔다. 마지막 공간을 정하기까지 20여 년. 끝없는 모색과 고민의 세월이었다. 서울과 지방의 비가역적 위계화, 한 걸음 들어가면 내면이 복잡하여 미래가 걱정되는 우리나라. 사회·정치·경제의 갈등 구조가 복잡하다.현직 시절, 매년 학생들과 현장 학술 답사를 다니는 동안 ‘반(半)풍수’가 되면서..

햄릿이냐 돈키호테냐

[김진영의 자작나무 숲] 햄릿이냐 돈키호테냐 김진영 연세대 노어노문학과 교수입력 2024.11.11. 23:58   일러스트=이철원 우디 앨런의 30년 전 영화 ‘부부일기’(Husbands and Wives)가 떠오른다. 남편과 헤어진 여자가 새 애인을 만나 침대에서 사랑을 나누던 중 머릿속으로 두 남자를 여우와 고슴도치에 비교하는 장면이다. 여자는 이어서 주변 친구들마저 두 유형으로 분류하기 시작하고, 그 바람에 사랑은 시들해진다. 무릇 모든 피조물이(그들의 사랑 방식마저도) 여우와 고슴도치로 나뉜다는 우디 앨런식 유머를 제대로 음미하려면, 고대 그리스 시인 아르힐로쿠스의 다음 명제를 기억할 필요가 있다. ‘여우는 많은 것을 알고, 고슴도치는 큰 것 하나를 안다.’이 명제의 본질은 상반된 두 기질을 비..

고독과 잘 지내기 위한

고독과 잘 지내기 위한중앙일보입력 2024.11.06 00:15원영 청룡암 주지밤 열 시, 지나간 하루를 복기하고 내일 일과를 꼼꼼하게 준비하기 좋은 시간이다. 습관처럼 열어놓은 창문 틈으로 풀벌레 울음소리가 들려온다. 치열했던 지난여름의 흔적을 지우려는지 살갗으로도 확연하게 느낄 수 있는 선선해진 밤공기와 제법 조화롭다. 앉아있던 책상 의자에서 몸을 일으켜 책 한 권 들어갈 정도의 틈이었던 창문을 활짝 열어젖힌다. 더욱 커진 풀벌레 소리와 함께 달빛까지 밤공기를 타고 방안으로 흘러든다. 손톱만한 초승달이 오늘따라 또렷하게 보이는 게 이번 달도 꽤나 바쁠 모양이다.수행자에 필요한 고독의 시간쓸쓸함·외로움과는 다른 의미“말라붙은 마음 소생시킬 장소”김지윤 기자책상 위에 걸린 달력에서 큰 숫자 아래에 매달린..

그 역에 가을이 오면

[윤주의 이제는 국가유산] [10] 그 역에 가을이 오면윤주 국가유산청 문화유산·자연유산위원입력 2024.09.11. 23:52업데이트 2024.09.11. 23:55                                                          남양주 능내역 폐역. /조선일보DB 고운 코스모스를 만났다. 어김없이 떠오르는 노래 한 구절은 ‘코스모스 피어있는 정든 고향역~.’ 그리고 ‘잘 있나요. 가을은 역시 코스모스 피는 고향역의 계절이지’라며 정겨운 안부를 전해준 ‘고향역’ 작사·작곡가인 임종수 선생님도 생각난다.‘고향역’은 1972년 발표된 나훈아 노래로 사랑받는 곡이다. 하지만 정작 노래를 만든 임종수의 고향 순창에는 기차역이 없다. 노래 속 ‘고향역’은, 타지인 형 집에 ..

일제 강점기 한국인은 누구인가? <Ⅰ>

일제 강점기 한국인은 누구인가? 중앙일보입력 2024.09.06 00:30업데이트 2024.09.06 01:50박명림 연세대 교수·정치학일제 강점기를 둘러싼 오늘의 역사 논란은 잘못된 역사교육과 잘못된 진영대결의 잘못된 복합 산물이다. 논란의 핵심은 한마디로 일제 강점기 한국인은 과연 누구였느냐는 문제로 귀결된다. 그것은 또한 그 시대를 어떻게 볼 것이냐는 문제로 직결된다. 논란의 한 초점은 당시 한국인들의 국적이다. 국적은 곧 시민권을 말한다. 따라서 국적은 결코 형식논리가 아니다. 로마와 유대까지 올라갈 필요도 없이 영국과 인도, 영국과 식민지 미국, 프랑스와 알제리, 일제하 만주, 독일과 프랑스, 나치와 유대인을 보라. 즉, 시민권의 위계와 종류는 너무도 다양했다. 국적은 한장의 서류나 여권 직인이..

성인(聖人)들이 생고생하는 나라

[이응준의 포스트잇] [33] 성인(聖人)들이 생고생하는 나라이응준 시인·소설가입력 2024.08.06. 00:00   인간을 짐승과 구별시키는 결정적 세 가지가 있다면, ‘과학’과 ‘예술’과 ‘종교’일 것이다.평소 스님과 목사님 등 여러 종교 사제(司祭)들의 말씀에서 공부를 얻곤 한다. 삼국 시대와 통일신라 시대의 승려 원효(元曉)에 대한 대중적 키워드로 ‘해골’과 ‘파계(破戒)’를 들을 수 있다. 원효는 승려 의상(義湘)과 두 차례 당나라 유학을 시도한다. 34세 때인 650년에는 고구려 국경 경비대에 잡혔다가 풀려나는 바람에 실패했고, 45세 때인 661년에는 당항성 부근 횡혈식 석실 파묘(破墓) 안에서 잠을 자다 비몽사몽 어둠 속에서 마신 달고 청량한 물이 아침에 깨어 보니 해골에 담긴 더러운 물..

나 ‘자신’을 내려놓는 정원 가꾸기

나 ‘자신’을 내려놓는 정원 가꾸기 중앙일보 입력 2024.04.16 00:2 고진하 목사·시인 봄비가 내린다. 어젯밤 돌담 밑 수로에서 청개구리 우는 소리를 들었는데 봄비를 재촉하는 예보였을까. 봄비가 내린다. 한동안 가물든 정원의 먼지를 가라앉히고 어린 봄풀들을 일으켜 세우는 빗소리가 수런거린다. 비설거지는 어제 오후에 미리 끝내놓았다. 오늘은 굳이 찬비 맞으며 동네 둘레길 걸으러 나갈 일도 없고, 텃새들이나 길냥이들도 보이지 않으니 차마 끝에서 도란도란 흘러 떨어지는 물소리나 들으며 한유함을 즐기련다. 어린 봄풀 일으켜 세우는 봄비 정원 일서 맛보는 질박한 기쁨 더없는 행복 저절로 오지 않아 김지윤 기자 얼마 전 옆지기가 한 말이 떠오른다. 난 올해 정원사가 될 거예요! 그런 말을 한 그녀는 며칠에..

어느 예술 후원가의 부고

어느 예술 후원가의 부고 중앙일보 입력 2024.04.05 00:46 업데이트 2024.04.05 01:30 김인혜 미술사가 미술관 큐레이터로 일하던 때, 한 지긋한 연배의 의사 선생님과 개인적인 대화를 나누다가 흥미로운 질문을 받았다. “요즘 화가 중에도 옛날 빈센트 반 고흐처럼 모든 열정을 그림 그리는 데만 쏟아붓고 다른 생각은 할 줄도 모르는, 그런 예술가가 있나요?” 나는 이 질문이 문득 참신하다고 느꼈다. 내게 그 대답은 당연히 “예스”인데, 이 노신사는 정말 진지하게 그 사실을 궁금해했기 때문이다. 아니, 당연한 거 아닌가. 예술가가 무슨 대단한 부귀영화를 누리겠다고 그림을 그리나. 이들은 예술을 하지 않으면 안 되는 유전자를 그냥 타고난 사람들이다. 정말 좋아서, 이게 아니면 안 돼서 처박혀..

화엄매(梅)

화엄매(梅) [오후여담] 문화일보 입력 2024-03-27 11:36 이철호 논설고문 이번 봄에 SNS 친구들이 가장 자주 올려준 사진은 홍매화다. 그중 화엄사 홍매화 사진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예로부터 매화는 선비의 절개를 상징했다. 한겨울에 눈을 맞으면서 피는 설중매가 으뜸이었다. 조선 시대에는 하얀 꽃에 꽃받침이 녹색인 ‘청(靑)매화’를 가장 높게 쳤다. 붉은색을 좋아하는 중국은 오래전부터 홍매화를 최고로 쳤는데, 그런 홍매화가 슬그머니 한국에서도 인기를 끄는 것이다. 높이 9m의 ‘구례 화엄매(梅)’는 오래전부터 전국에서 알 만한 사진가들을 불러 모은 명목이었다. 조선 숙종 때 계파 선사가 심은 300년 넘는 수령에다 빼어난 자태, 천년 고찰(古刹)과 어우러진 검붉은 홑꽃잎이 압권이다. 그동안 국..

결국 나의 친구는 나였던 거다

결국 나의 친구는 나였던 거다 중앙일보 입력 2024.03.19 00:29 황주리 화가 조병화 시인의 ‘결국 나의 천적은 나였던 거다’라는 시 구절을 기억하면서 늘 맞는 말씀이라고 고개를 끄덕이곤 했다. 그 시 구절이 너무 당연한 말씀이 된 지 오래다. 요즘 고개를 끄덕이게 하는 또 하나의 당연한 말은 ‘결국 나의 친구는 나였던 거다’ 아닐까 싶다. 어디서나 ‘진정한 우정 같은 거 없다’ 같은 제목들이 넘쳐난다. 부담스러운 진심을 남에게 기대하지 말자는 영리해진 현대인의 마음 자세일지 모른다. 점점 소중해지는 혼자의 시간 선물인지도 모르고 보낸 날들 오늘도 나의 귀한 하루를 썼다 그림=황주리 언젠가 맛집으로 소문난 식당에서 지인 몇이 점심을 먹고 있는데, 유명 시인 J 선생님이 혼자 들어와 맞은편 자리에..

5시부터 7시까지의 당신

최은미의 마음 읽기 5시부터 7시까지의 당신 중앙일보 입력 2024.02.14 00:28 최은미 소설가 지인들과 신년 모임을 하던 자리에서 길흉화복을 점쳐준다는 앱을 열고 올해의 운세를 보았다. 컨디션이 안 좋은 시기엔 불안도를 자극하거나 정신 건강에 해가 될 수 있는 상황을 최대한 차단하는 편인데 그날은 왠지 내키지 않았는데도 토정비결 앱을 연 후배한테 내 생년월일시를 불러주고 말았다. 2024년의 내 운세엔 안 좋은 말들이 고루 적혀 있었다. 질병과 구설수, 가까운 사람과의 반목과 손절 등등. 부정적인 말들을 막상 두 눈으로 확인하고 나면 재미로 생각하라거나 조심하며 지내면 된다는 말이 그다지 와 닿지 않게 된다. 여기서 어떻게 더 조심하며 살아야 하는지 알 수 없는 기분이 들 때가 많고 일상과 일생..

모든 날, 모든 순간이 남는다

모든 날, 모든 순간이 남는다 중앙일보 입력 2024.01.31 00:21 지면보기 원영 스님 청룡암 주지 온 나라가 꽁꽁 얼어붙은 1월 어느 날! 동안거 중에 한 번은 꼭 해야 하는 포살(출가자들의 송계참회의식)에 참여했다. 스님들이 조계사 법당 안에 가득 모였다. 아는 스님, 모르는 스님, 알 듯 말 듯 낯익은 스님들이다. 반갑기도 하고 머쓱하기도 한 눈인사를 나누며, 나는 어서 빨리 포살이 시작되기만을 바랐다. 이렇게 많은 이들이 섞인 날에는 잊고 싶은 기억을 떠올리게 하는 얼굴도 더러 있기 마련이다. 그런 사람과 혹여 먼 발치에서 눈이라도 마주치면 금세 마음이 흔들린다. 이윽고 염불이 시작되었다. 분위기가 엄중하다. 그러나 마음은 혼탁한 기억을 더듬느라 돌아올 줄 모른다. 산란한 마음을 과거에 버..

시인 김광섭

시인 김광섭 문화일보 입력 2024-01-29 11:46 김종호 논설고문 서로 다른 장르의 예술가로 각별한 우정을 나눈 인물로는, 시인 이산(怡山) 김광섭(1904∼1977)과 화가 수화(樹話) 김환기(1913∼1974)도 대표적이다. 1960년대 초에 서울 성북구 성북동에서 이웃해 살았다. 김환기가 미국 뉴욕에서 외롭게 지내던 시기에는 편지를 통해 교유했다. 1966년 어느 날의 김환기는 편지에서, 김광섭 시집을 내겠다는 출판사가 나타나지 않는다는 소식에 안타까워하며 이렇게 썼다. ‘원색 석판화를 넣어 호화판 시집을 제가 다시 꾸며 보겠어요. 한 권에 3만 원짜리를 내야겠어요. 되도록이면 비싸서 안 팔리는 책을 내고 싶어요. 이런 게 미운 세상에 복수가 될까.’ 김광섭은 시 ‘저녁에’를 잡지 ‘월간중앙..

대한제국의 영빈관, 덕수궁 돈덕전

대한제국의 영빈관, 덕수궁 돈덕전 중앙일보 입력 2024.01.18 00:31 덕수궁은 조선왕조의 5대 궁궐 중 하나로 꼽히고 있지만 기실은 대한제국의 황실 건축이라고 해야 맞다. 1897년 10월 12일 대한제국의 건국이 세계만방에 선포됨으로써 조선왕조는 그때 막을 내렸다. 그리고 대한제국은 1910년 8월 29일 강제 체결된 한일병합조약이 공포됨으로써 종말을 고하였으니 13년간 엄연히 존재했던 황제의 나라였다. 그럼에도 우리는 대한제국은 무늬만 황제의 나라로 생각하며 흔히는 ‘구한말(舊韓末)’이라고 부르며 1910년을 조선왕조의 마지막으로 기술하기도 한다. 그러나 불우할지언정 지워질 순 없는 일이다. 그리고 대한제국은 제국주의 열강들의 침략에 속절없이 당했지만 그냥 무능한 나라는 아니었다. 1893년..

吾必在汶上矣(오필재문상의)

吾必在汶上矣(오필재문상의) 중앙일보 입력 2024.01.11 00:19 김병기 서예가·전북대 명예교수 노나라의 실권을 장악한 권신인 대부 계씨(季氏)가 공자의 제자 민자건에게 노나라에 속한 ‘비(費)’ 땅의 읍재(邑宰:읍장)를 맡아달라는 전갈을 보내왔다. 민자건은 전갈을 전하러 온 사자에게 “나는 읍재 벼슬에 뜻이 없으니 그대가 돌아가서 말을 잘 전하게. 만약 나를 다시 부른다면 나는 노나라를 떠나 제나라의 문수(汶水) 물가로 은거해 버릴 것이오”라고 말하였다. 부정한 권력자 밑에서는 어떤 벼슬도 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표명한 것이다. 어지러운 나라에서 부귀를 누리는 사악한 권력의 부름을 거절하기란 쉽지 않다. 강직하게 거절하면 화를 입을 수 있고, 약하게 대하면 욕됨을 당할 수 있다. 이에, 민자건은 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