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자의 호접몽

세상과 세상 사이의 꿈

모두 평화롭게! 기쁘게!

2025/02/18 6

거제 동백·순천 매화… 늦은 만큼 설레는 ‘봄 마중’

거제 동백·순천 매화… 늦은 만큼 설레는 ‘봄 마중’문화일보입력 2025-02-13 08:56업데이트 2025-02-13 08:57붉은 동백꽃이 터널을 이룬 봄날의 거제 지심도 모습. 선착장에서 마을로 올라가는 길이다.■ 봄꽃여행 추천 명소거제 지심도 섬 전체가 동백숲장흥 천관산엔 국내 최대 규모순천 금둔사는 매화 향기 가득제주 한림공원 뒤늦은 수선화혹한에 뒤이어 폭설까지…. 겨울이 아직 맹위를 떨치고 있지만, 남녘에서는 봄꽃 소식이 들려오기 시작했다. 막바지 겨울 추위로 첫 꽃소식이 예년에 비해 많이 늦었다. 이제나저제나 기다리던 봄소식이라 반가운 마음도 더 하다. 절정의 순간 모가지가 툭 떨어지는 선홍빛 동백의 본격적인 개화는, 봄을 앞둔 이즈음이 시작이다. 차가운 가지에 성글게 꽃을 피우는 매화도,..

카테고리 없음 2025.02.18

[23] 과메기와 정어리에 기대어

[정수윤의 하이쿠로 읽는 일본] [23] 과메기와 정어리에 기대어정수윤 작가·번역가입력 2024.11.13. 23:59업데이트 2024.11.14. 00:11   소슬바람아말린 정어리 등에바다의 빛깔木(こ)がらしや目刺(めざ)しにのこる海(うみ)のいろ 어제는 문득 과메기가 먹고 싶었다. 요즘처럼 아침저녁으로 으스스한 늦가을 바람이 등골에 스밀 무렵 생각나는 계절 음식이다. 꽁치를 바닷바람에 꾸덕꾸덕하게 말려서 한입 크기로 썰어 깻잎, 봄동, 쪽파, 청양고추, 마늘 등과 함께 쌈장에 싸 먹는다. 김이나 미역으로 싸서 초고추장에 찍어 먹기도 한다. 갈색으로 윤기가 반드르르하게 도는 과메기는 차고 깨끗한 바람에 잘 말라 비린내가 전혀 나지 않았다. 각종 채소와 해조류 사이로 쫀득쫀득하게 존재감을 드러내는 생선 살..

[64] 하늘이 내게로 온다

[신수진의 마음으로 사진 읽기] [64] 하늘이 내게로 온다신수진 예술기획자·한국외국어대 초빙교수입력 2023.07.07. 03:00   김지혜, City Space s17, 2013. 명동이 다시 북적인다. 팬데믹 동안엔 텅 빈 거리가 낯선 충격이더니 다시 관광객으로 가득한 거리를 보니 반갑고도 그새 또 낯설다. 도시에서 오래 생활해 본 사람들은 높은 건물, 복잡한 교통, 북적이는 사람들 모습이 늘 한결같지 않다는 걸 잘 안다. 저 멀리 보이는 작은 하늘도 매 순간 다른 빛이고, 차와 사람들로 꽉 막힌 도로도 깊은 밤이면 거짓말처럼 한적해진다. 도시를 가장 도시답게 하는 건 시시각각 변하는 모습이다.김지혜 작가는 변화무쌍한 도시를 좋아한다. 익숙해서 잘 안다는 건, 때론 작은 변화도 알아챌 수 있을 만..

[217] 무료불평(無聊不平)

[정민의 세설신어] [217] 무료불평(無聊不平)정민 한양대 교수·고전문학입력 2013.07.03. 03:03  료(聊)는 부사로 쓸 때는 '애오라지'로 새기고, 보통은 힘입다, 즐긴다는 의미로 쓴다. 무료(無聊)하다는 말은 즐길 만한 일이 아무것도 없다는 뜻이다. 옛글에서는 흔히 무료불평(無聊不平)이라고 썼다. 회재불우(懷才不遇)! 재주를 품고도 세상과 만나지 못했다. 꿈이 있고 할 수 있는 의지와 능력이 있는데 세상은 나를 외면하고 쓸모없는 사람 취급을 한다. 이때 생기는 마음이 무료불평이다. 마음에 맞는 일이 없어 무료하고, 그 끝에 남는 것이 불평이다. 불평은 마음이 들쭉날쭉 일정하지 않아 울근불근하는 상태다.유성룡(柳成龍·1542~1607)이 우성전(禹性傳)에게 쓴 짧은 편지에서 "그의 글은 앞..

'자기 앞의 생' 미모사, 소설 소품에서 영화 주연급으로

'자기 앞의 생' 미모사, 소설 소품에서 영화 주연급으로 [김민철의 꽃이야기]김민철 기자입력 2025.02.18. 00:05업데이트 2025.02.18. 08:20   소설 ‘자기 앞의 생’과 넷플릭스 영화 ‘자기 앞의 생’은 어느 것이 더 유명할까. 둘 다 얘깃거리가 참 많은 작품이다.소설 ‘자기 앞의 생’은 프랑스 소설가 로맹 가리가 1975년 ‘에밀 아자르’라는 이름으로 발표해 그해 공쿠르상을 받았다. 그는 이미 1956년 발표한 소설 ‘하늘의 뿌리’로 이 상을 받은 적이 있다. 공쿠르상은 같은 작가에게 다시 주지 않는 것이 원칙인데 그는 최초로 이 상을 두 번 받았다. 하지만 그가 1980년 권총 자살로 생을 마감할 때까지 두 사람이 동일 인물이라는 것을 아는 사람은 없었다. 1970년대 말 인기..

고철 시집 『극단적 흰빛』: 모든 슬픔을 부끄럽게 하는 시

모든 슬픔을 부끄럽게 하는 시나호열 ( 시인· 문화평론가) 모든 슬픔은 인간이라는 존재가 지닌 복합적 감정의 유령이다. 생멸, 미래에 대한 불안, 외로움과 분노, 폭력과 갈등 등등의 부유물이기도 하다. 고철의 세 번째 시집『극단적 흰빛』은 그 슬픔의 극단을 ‘흰빛’으로 요약한다. ‘흰빛’의 사전적 의미는 ‘눈과 같이 밝고 선명한 빛깔’이지만 동시에 더 이상 더럽혀지지 않는 깨달음을 내포하고 있다. ‘끝닿은 낭떠러지처럼 / 한발 물러설 수 없는 /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 때’ (「극단적 흰빛」2연)를 마주치지 않은 사람은 ‘실감나지 않는 흰빛이 생기’는 광경을 볼 수가 없다. 고철 시인은 ‘우리들은 우리들의 우리들에 의한 / 전쟁을 겪었었’(「보육원 생각」부분)음에도 ‘세상은 고요하고 고요’(「보육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