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국 나의 친구는 나였던 거다
입력 2024.03.19 00:29
![](https://blog.kakaocdn.net/dn/1GRTL/btsFVsaiL6A/wDhKINH8ORKkYZpu7BYa61/img.jpg)
황주리 화가
조병화 시인의 ‘결국 나의 천적은 나였던 거다’라는 시 구절을 기억하면서 늘 맞는 말씀이라고 고개를 끄덕이곤 했다. 그 시 구절이 너무 당연한 말씀이 된 지 오래다. 요즘 고개를 끄덕이게 하는 또 하나의 당연한 말은 ‘결국 나의 친구는 나였던 거다’ 아닐까 싶다. 어디서나 ‘진정한 우정 같은 거 없다’ 같은 제목들이 넘쳐난다. 부담스러운 진심을 남에게 기대하지 말자는 영리해진 현대인의 마음 자세일지 모른다.
점점 소중해지는 혼자의 시간
선물인지도 모르고 보낸 날들
오늘도 나의 귀한 하루를 썼다
![](https://blog.kakaocdn.net/dn/cNLD0O/btsFV5y94aJ/rvF1vAkyNDPBoGEM5WdCkK/img.jpg)
그림=황주리
언젠가 맛집으로 소문난 식당에서 지인 몇이 점심을 먹고 있는데, 유명 시인 J 선생님이 혼자 들어와 맞은편 자리에 앉으셨다. 혼자 오셨나 물으니 그렇다 하셨다. 맛집이라 소문나서 일부러 와봤다 하신다. 속으로 의아했지만, 나이 들면서 그 기분을 이해한다. 나도 요즘 부쩍 혼자 다니는 걸 즐긴다. 할 일을 마치고 식당 창가에 앉아 가장 친한 친구 ‘나’ 자신과 함께 이어폰을 꽂고 음악을 들으며 식사한다. 맥주 한 잔이 정취를 더한다. 이럴 때 산다는 건 선물이다. 타인에 대한 애착이 점점 없어지는 건 어쩌면 자기 자신에 대한 애착 버리기의 연습일지 모른다.
애착뿐 아니라 낡은 생각들도 버려야 한다. 서른 살 조카가 사랑하는데 동성이든 이성이든 상관없는 양성애자라고 떳떳이 말하는 걸 보면서 한 방 두들겨 맞은 기분이던 날도 오래전 일이다. 현실이 소설이나 영화보다 더 비현실적으로 느껴진다. 연애 감정을 느끼지 않는 또 하나의 성, ‘에이섹슈얼(asexual)’이란 낯선 단어가 떠오른다. 우리말로 무성애자다. 그에 비하면 양성애자는 따뜻하게 들린다. 문득 ‘너는 뭔데?’ 하는 소리가 들리는 것 같다.
점점 한 친구와 만나기보다는 여럿이 모이는 게 즐겁다. 그것도 아주 가끔이라야 한다. 한 사람을 만난다는 건 그가 지닌 인품과 성숙함과 유머를 함께한다는 것이다. 원래 그랬던 건지, 세월이 지날수록 후퇴하는 건지, 점점 낯설어지는 오래된 친구와의 시간이 아까워질 때가 있다. 그럴 때는 내 가장 친한 친구 ‘나’랑 노는 게 낫다. 시간 깍쟁이가 되어가는가 보다. 오늘도 내 귀한 목숨의 하루분을 다 써버렸다. 젊을 때는 못 느끼던 죄책감이 살짝 스치고 지나간다. 밑도 끝도 없이 긴 넷플릭스 중국 드라마를 이제 보기 시작했는데 어느 날 끝이 나 버리는 것처럼. 우리의 삶도 그럴 것이다. 엉뚱하게도 마오쩌둥의 대약진 운동의 구호, ‘하루를 이틀만큼 일하자’는 문구가 생각난다. 나는 그 문구를 ‘하루를 이틀처럼 놀자’로 바꾸고 싶다. 젊을 땐 늘 누군가 그리웠다. 지금은 나 자신이 그립다. 귀한 줄도 몰랐으므로 지나간 시간은 아쉽지도 않다.
늙음은 때로 참 좋다. 마일리지를 모으고 모아 내 나이 환갑에 내가 내게 주는 생일 선물로 뉴욕 가는 일등석을 타본 적이 있다. 일등석은 비즈니스석하고도 달라 더 독립적이고 좀 외롭다. 자고 있으면 방해될까, 식사 시간이 와도 깨우지 않는다.
오래전 마카오 여행길에 비싼 새 호텔과 비싸지 않은 오래된 호텔의 장단점을 물으니 비싼 호텔은 명품을 파는 면세점과 연결되어 있고, 덜 비싼 호텔은 옛 골목들을 둘러보기 좋다는 답이 돌아왔다. 인생도 그렇다. 부잣집에 시집가서 시집살이에 주눅이 들어 많지 않은 나이에 치매에 걸린 분을 본 적이 있다. 사별한 그분은 사실 돈밖에 가진 게 없을 정도인데, 본인은 그걸 모른다. 아무것도 가진 게 없다고 생각한다. 인생이라는 게 그렇게 터무니없다.
우리의 그 터무니없는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건 무엇일까? 비록 타인의 경험이라도 늘 무언가 교훈을 얻어야 한다는 것일까? ‘그대여 그대에게서 나를 본다.’ 그게 인생이니까. 개인이 아닌 사회도 국가도 세계도 우주도 다 그럴 것이다. 우리는 오늘보다 나은 내일, 지금보다 나은 내가 되기 위해 안간힘을 쓰며 삶을 이어간다. 비록 지구의 수명이 다해 결국은 끝날지라도.
나는 가끔 아무 생각 없이 멍 때리던 초등학교 시절의 교실 풍경으로 되돌아간다. 오래된 내 인생의 호흡법이다. 지구의 신비로운 자연을 담은 다큐멘터리에서 세상 곳곳에 사는 희귀한 동식물들을 볼 때마다 내 크고 작은 걱정거리들은 아무것도 아닌 듯하다. ‘하늘을 우러러 한 점 부끄럼이 없기를’, 윤동주의 그 시 구절이 세상에서 제일 무섭다는 구십 살 정신과 의사의 절절한 말씀이 오늘도 내 멍때림을 깨운다.
인생은 긴 지루함과 기다림, 초조함과 외로움, 순간의 기쁨과 슬픔, 내게만 주어진 것처럼 느껴진 고통, 선물인지도 모르고 흘려보낸 많은 무사한 날들, 그리고 그 끝은, 아니 완성은 언젠가 결코 미룰 수 없이 다가올 원고 마감이다.
황주리 화가
'뭇별이 들려주는 이야기(마음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느 예술 후원가의 부고 (0) | 2024.04.05 |
---|---|
화엄매(梅) (1) | 2024.03.28 |
5시부터 7시까지의 당신 (0) | 2024.03.13 |
모든 날, 모든 순간이 남는다 (2) | 2024.01.31 |
시인 김광섭 (0) | 2024.0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