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민의 世說新語] [199] 조락공강 (潮落空江)정민 한양대 교수·고전문학입력 2013.02.27. 03:04 당나라 때 이정(李�H)이 쓸쓸한 송강역(松江驛) 물가에서 저물녘에 배를 대다가 시 한 수를 썼다."조각배에 외론 객이 늦도록 머뭇대니, 여뀌꽃이 피어 있는 수역(水驛)의 가을일세. 세월에 놀라다가 이별마저 다한 뒤, 안개 물결 머무느니 고금의 근심일래. 구름 낀 고향 땅엔 산천이 저무는데, 조수 진 텅 빈 강서 그물을 거두누나. 여기에 예쁜 아씨 옛 노래가 들려오니, 노 젓는 소리만이 채릉주(采菱舟)로 흩어진다(片帆孤客晩夷猶, 紅蓼花前水驛秋. 歲月方驚離別盡, 烟波仍駐古今愁. 雲陰故國山川暮, 潮落空江網��收. 還有吳娃舊歌曲, 棹聲遙散采菱舟).참으로 적막하고 쓸쓸한 광경이다. 조각배를 탄 나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