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자의 호접몽

세상과 세상 사이의 꿈

모두 평화롭게! 기쁘게!

김민철의 꽃 이야기

슬픈 사연 전해오는 팥꽃나무의 반전

장자이거나 나비이거나 2025. 4. 17. 17:38

슬픈 사연 전해오는 팥꽃나무의 반전

[김민철의 꽃이야기]

<235회>

입력 2025.04.15. 00:05
 
 

요즘 서울 도심에서 부쩍 늘어난 꽃나무가 있습니다. 바로 팥꽃나무인데 서울숲, 경의선숲길, 인왕산 주변 화단 등 곳곳에서 홍자색 꽃이 핀 팥꽃나무 무리를 만날 수 있습니다. 마침 요즘이 꽃의 절정, 제일 아름다울 때입니다.

팥꽃나무는 다 자라도 높이가 1미터 정도인 작은 나무입니다. 자그마한 꽃이 3∼7개씩 모여 피는데, 작은 나팔 모양의 꽃은 끝이 4개로 갈라져 있습니다. 이런 작은 꽃들이 가지를 감싸듯 피고 이런 가지들이 모여 홍자색 장관을 연출합니다. 꽃자루 겉면엔 털이 밀생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4월 중순 부안 변산반도에서 만난 팥꽃나무.

 

멀리서 보면 라일락 비슷하게도 보입니다. 라일락은 꽃이 필 때 잎도 나오지만 팥꽃나무는 잎이 나오기 전에 꽃이 피는 점이 다릅니다. 색이나 크기가 라일락과 잘 어울려서인지 라일락 앞에 팥꽃나무를 심어놓은 모습도 볼 수 있습니다. 어떻게 보면 작은 박태기나무 같기도 합니다.

◇팥꽃나무, 서울 도심까지 진출

이 나무를 처음 본 것은 어느 해 4월 부안 변산반도 근처에서였습니다. 해안가 풀밭에 있기에는 너무 환한 꽃이 피어 있어서 바로 이름을 찾아보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뜻밖에도 자생하는 나무였습니다.

팥꽃나무는 전부터 키가 적당하고 서울에서도 월동 가능하며 꽃도 일찍 피기 때문에 봄철 화단에 심으면 좋겠다는 의견이 많았습니다. 몇 년 전부터 서울에서도 조금씩 보이기 시작하더니 올봄 들어서는 주변에 팥꽃나무가 부쩍 많아졌습니다.

4월 14일 서울 경의선숲길에서 만난 팥꽃나무 무리.

 

서울시 길거리꽃 정책은 철마다 교체해야 하는 화초보다는 한번 심으면 오래가는 화목 위주로 심는다는 것입니다. 눈 밝은 분들은 요즘 서울 시내에서 남천·황매화·화살나무·조팝나무 같은 나무꽃들이 많아진 것을 느꼈을 겁니다. 팥꽃나무는 이런 서울시 방침과도 맞아떨어지는 나무 같습니다.

팥꽃나무라는 이름은 꽃색이 팥 색깔과 비슷하다고 붙인 것입니다. 전라도 일부 지방에서는 이 꽃이 필 때쯤 조기가 많이 잡힌다고 ‘조기꽃나무’라고도 합니다. 원래 속명이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님프 이름을 따온 ‘다프네(Daphne, 백서향속)’였는데 얼마 전 ‘산닥나무속’으로 따로 독립했습니다. 전엔 속이 같았으니 서향·백서향 등과 비슷한 점이 많겠지만 팥꽃나무는 이들처럼 향기가 강하지는 않습니다.

◇“왜란 때 낙태용으로 쓰다 사고 많아”

이 나무를 소개하는 글마다 나오는 단어가 ‘드물다’는 것입니다. 전남에서 해안을 따라 충청도를 거쳐 평안남도까지 올라가며 바닷가 근처에서 자생하지만 쉽게 만나기는 어렵다고 합니다. 햇빛이 충분하면 척박한 곳에서도 잘 자라는데 왜 이 나무가 자생지에서 드물까요. 내륙에 심어도 잘 자라는 편이라고 합니다.

 
 
서울 경의선숲길에서 만난 팥꽃나무 무리.

이 나무가 드문 것과 관련해 슬픈 이야기가 전해오고 있습니다. 이 나무를 소개할 때 등장하는 것이 독성이 강하니 주의하라는 것입니다. 특히 임신부가 이 약을 복용하면 유산을 하기 쉽다고 합니다. 그래서 이 나무 꽃봉오리 말린 것(원화·芫花)과 뿌리를 낙태제로 쓰기도 했다고 합니다.

그런데 임진왜란 때 왜적에게 원치 않은 일을 당한 조선의 여인들이 이 나무로 낙태를 시도하다 목숨을 잃는 사고가 많았다고 합니다. 그래서 나라에서 지방 관리를 통해 팥꽃나무를 모두 베어버리게 했다는 얘기가 전해오고 있습니다.

조선왕조실록 등을 뒤져보았지만 해당 내용을 찾지는 못했습니다. 전해오는 얘기가 맞는지 확인하지는 못한 것입니다. 사람들의 남획으로 자생지에서 거의 볼 수 없어졌다는 견해도 있습니다. 다만 이 나무가 자생지에서 드문 것은 맞고 낙태제로 쓴 기록도 있는 것으로 보아 전해오는 이야기가 터무니없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그래서 이 꽃을 볼 때마다 애잔한 느낌을 지울 수 없었습니다.

이런 사연이 전해오는 나무가 서울까지 진출해 시내 곳곳에서 조경수로 쓰이고 있으니 부활했다고 봐도 무방할 것 같습니다. 혹시라도 도심에 팥꽃나무 같은 독성이 강한 나무를 심었다고, 협죽도처럼 베어내자고 하는 코미디 같은 주장이 나오는 것은 아니겠지요.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꽃 위주로, 꽃이야기와 빛깔, 향기를 전해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