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순신 최후 순간 적은 ‘류성룡 비망록 달력’ 일본서 환수
조선시대 임진왜란(1592~1598) 당시 충무공 이순신(1545~1598)이 노량해전에서 최후를 맞는 상황을 묘사하듯 적은 당대 지인의 친필 기록이 처음 세상에 나왔다. 기록자로 추정되는 이는 충무공의 절친한 친구이자 명재상이었던 서애 류성룡(1542~1607)이다. 개전 이후 우의정과 영의정을 맡아 전시 정부를 이끌며 항전을 주도했고, 17세기 조선, 중국, 일본에서 모두 베스트셀러가 된 임진왜란 회고록
을 쓴 인물이기도 하다. 문화재청과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은 류성룡이 친필로 썼다고 추정되는 16세기 비망록 달력을 최근 일본에서 발견해 국내로 들여왔다고 24일 발표했다.
)다. 책자 얼개인데, 세로(38㎝)가 가로(20㎝)보다 긴 직사각형 모양을 하고 있다. 대통력은 천체를 측정해 해와 달의 운행과 절기를 가늠하는 책력의 일종이다. 원래 명나라에서 만들어져 조선시대 농사와 일상생활 지침으로 널리 쓰였으며 여백에 일정이나 감상을 적는 비망록 구실도 겸했다. 환수한 유물은 경자년(1600년)의 대통력을 담은 판본. 1599년 간행해 금속활자본으로 찍었다. 1600년 경자년 대통력 역법을 쓴 달력은 지금껏 국내에 다른 판본이 전해지지 않아 문화재적 가치를 더욱 높이 칠 수 있다고 한다.
조선시대 책력을 보면 소장자가 빈 여백에 일정이나 감상을 적어두는 경우가 많았다. 환수된 류성룡 소장품 추정 달력도 여백에 먹글씨와 붉은 안료 붓질로 그날의 날씨, 일정, 약속, 병세와 처방 등을 기록한 것이 특징이다. 국외소재문화재재단 쪽은 “기재된 필적과 주로 언급되는 인물, 사건 등의 정보를 바탕으로 류성룡의 문집
중 연대기가 기록된 ‘서애선생연보’(西厓先生年譜)와 대조해보니 가까이 놓고 자주 써서 손때가 묻은 그의 유일한 수택본(手澤本)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에 빠져 있던 새 자료를 발굴, 환수했다는 점도 의미가 깊다”고 평가했다. 앞으로 산하 국립고궁박물관에서 관리하면서 류성룡 관련 사료로 전시 등에 폭넓게 활용할 계획이라고 한다. 문화재청과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은 24일 오전 10시30분 서울 경복궁 국립고궁박물관에서 환수한 달력을 언론에 공개한다.
노형석 기자 nuge@hani.co.kr
'유물과의 대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령총(金鈴塚) (1) | 2022.12.09 |
---|---|
수구파 민영익을 칼로 쳤으나 혁명은 좌절됐다 (0) | 2022.12.02 |
조선을 스쳐간 근대화의 기회: 1883년 보빙사와 민영익① (0) | 2022.11.18 |
백성을 무시하고 권력만 좇았던 오군(汚君) 인조 (1) | 2022.11.03 |
이씨 왕실 족보 왜곡과 1537년 경회루에서 벌어진 막장 사대(事大) 대참사 (0) | 2022.10.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