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백성호의 현문우답 - 붓다를 만나다 ⑨
알라라 칼라마는 ‘고요에 잠긴 요가 수행자’였다. 싯다르타는 드디어 그를 만났다. 알라라 칼라마는 출가한 왕자에 대한 소문을 익히 들었다. 싯다르타를 처음 본 알라라 칼라마는 이렇게 말했다.
제자 300명 거느린 알라라 칼라마
고해 저 편 고요의 경지로 이끌지만 …
“세상 고통에 눈감은 평온은 무의미”
싯다르타는 또 다른 스승 찾아 발길
“위세도 당당한 코끼리가 자신을 묶은 밧줄을 끊듯이, 그대는 애정의 얽매임을 끊고서 왕위도 버리고 출가했다. 늙은 왕이 자식에게 왕위를 물려주고서 숲으로 가는 건 놀랍지 않다. 그러나 한창 쾌락에 젖어 들 나이에 왕궁의 화려한 삶을 버리고 떠나온 그대는 참으로 놀랍다. 이 높은 가르침을 담기에 적합한 그릇이다. 지혜의 배를 타고 고통의 바다를 건너가라.”
그래서일까. 싯다르타에게 “지혜의 배를 타고 고통의 바다를 건너가라”고 말했다. 생로병사로 허덕이는 이쪽 언덕에서, 고해(苦海)를 건너 저쪽 언덕에 가 닿으라고 했다. 저 언덕은 고요의 언덕, 평온의 언덕, 더 이상 생멸의 파도가 치지 않는 언덕이다.
이 대목을 읽다가 나는 적잖이 놀랐다. 이 구절은 산스크리트어로 ‘마하 프라즈나 파라미타(maha-prajna-paramita)’이다. 이 산스크리트어 발음을 한자로 음역한 것이 ‘마하반야바라밀(摩訶般若波羅蜜)’이다. ‘마하’는 ‘거대한’이란 뜻이고, ‘반야’는 ‘깨달음의 지혜’, ‘바라밀’은 ‘이 언덕에서 저 언덕으로 건너가다’는 의미다.
붓다가 깨달음을 얻기 전이었다. 불교가 태동하기도 전이었다. 인도에는 이미 ‘고해의 바다’라는 표현이 있었다. 나는 거기서 인류의 오랜 목마름을 읽는다. 그렇다. 삶은 고통이다. 고통으로 출렁이는 바다다. ‘생겨난 것은 모두 소멸한다.’ 그 단순한 사실이 우리에게 고통으로 다가온다.
왜 그럴까. 우리는 생겨난 것에 집착하기 때문이다. 그것이 자식이든, 일이든, 돈이든, 명예든, 욕망이든, 아니면 자신의 생명이든 말이다. 우리는 영원하길 바란다. 그러나 생겨난 모든 것은 때가 되면 무너진다. 그래서 생로병사가 있다. 싯다르타가 출가한 까닭도 여기서 벗어나기 위함이었다.
알라라 칼라마는 당시 120세였다. 열 여섯 살 때 출가해 무려 104년째 수행을 하고 있었다. 그에게는 300명의 제자가 있었다. 그러니 상당한 규모의 수행 그룹이었다. 신입 수행자를 받을 때는 시험도 치렀다. 싯다르타에게는 그걸 면제해 주었다. 알라라 칼라마가 싯다르타에게서 ‘특별한 가능성’을 보았기 때문이다. 싯다르타는 알라라 칼라마의 제자가 됐다. 그리고 수행에 매진했다.
“코끼리가 밧줄 끊듯 얽매임 끊고 출가”
바이샬리는 무역도시였다. 예나 지금이나 똑같다. 강이나 바다를 끼고 있는 무역도시는 개방적이다. 다양한 인종, 다양한 학문, 다양한 문물이 들락거리기 때문이다. 이를 접한 사람들은 눈도 열고, 마음도 연다. 바이샬리도 그랬다. 훗날 붓다가 열반하고 100년의 세월이 흐른다. 깊은 산 속에서 불교를 수행하는 이들도 있었고, 바이샬리 같은 대도시에서 불교 수행을 하는 이들도 있었다.
100년이 흐르자 둘 사이에 차이가 생겼다. 산 속에서 고립돼 있던 수행그룹은 옛날 방식의 계율을 그대로 고집하고 있었고, 대도시의 수행 그룹은 대중과 소통하며 시대에 맞게끔 계율을 바꾸어 갔다. 그런데 산 속의 수행자들이 바이샬리로 내려왔다가 깜짝 놀랐다. 그들의 눈에 바이샬리의 불교는 더 이상 불교가 아니었다. ‘붓다의 전통’에서 한참 어긋나 있다고 봤다.
반면 바이샬리 승려들의 눈에는 산 속 불교가 이상했다. 그들은 대중과 소통하는 일에는 관심이 없었다. 오로지 ‘옛것’을 지키는 일에만 혈안이 돼 있었다. 결국 산 속 불교는 보수적인 ‘상좌부(上座部·테라바다) 불교’가 되고, 도시의 불교는 진보적인 ‘대중부(大衆部·마하삼기카) 불교’가 됐다. 둘은 그렇게 갈라졌다.
더 훗날 대중부 불교는 간다라지역과 중앙아시아를 거쳐 동북아의 ‘대승불교’로 이어지고, 상좌부 불교는 인도 남쪽의 스리랑카를 걸쳐 동남아로 흘러가며 ‘소승불교’로 자리를 잡았다. 물론 대승과 소승을 나누는 것도 대승불교적 관점이긴 하다.
바이샬리는 싯다르타 당시에도 그런 대도시였다. 그러니 알라라 칼라마 수행 그룹의 분위기도 대충 짐작할 수 있다. 상당히 유연하고 자유로운 환경이 아니었을까. 싯다르타는 300명이나 되는 선배 수행자들이 있다고 해서 결코 주눅 들지 않았다. 오히려 이렇게 생각했다.
“알라라 칼라마가 믿음이 있듯이 나도 믿음이 있다. 그가 정진할 수 있듯이 나도 정진할 수 있다. 그가 지혜가 있듯이 나도 지혜가 있다. 그러니 알라라 칼라마만 ‘텅 빈 고요(무소유처정)’에 머물 수 있는 것은 아니지 않은가.”
싯다르타는 둘로 보지 않았다. 그는 스승을 우상화하지도 않았다. 똑같은 잠재력을 봤고, 똑같은 가능성을 봤다. 알라라 칼라마가 닿을 수 있다면, 자신도 닿을 수 있다고 여겼다. 거기에는 나와 상대, 상대와 나를 둘로 보지 않는 ‘불이(不二)의 시선’이 녹아 있다. 싯다르타는 알라라 칼라마에게 단도직입적으로 물었다.
“저에게 늙음과 병듦과 죽음의 고리를 끊는 법을 알려주십시오.”
어리석은 씨앗, 가슴 아픈 열매의 굴레
알라라 칼라마는 “윤회의 원인은 무지(無知)와 업(業)과 욕망”이라고 했다. 자기 중심적으로만 세상을 바라보며 이치에 대해 착각하는 게 ‘무지’이고, 그 무지로 인해 저지른 잘못들이 ‘업’이고, 자신을 위해 무지와 업을 자꾸만 저지르고 싶은 마음이 ‘욕망’이다. 이로 인해 우리의 삶에는 윤회가 펼쳐진다. 어리석은 씨앗이 자꾸만 심어지고, 가슴 아픈 열매가 자꾸만 열린다.
싯다르타는 열심히 수행했다. 결국 스승과 같은 경지에 도달했다. 알라라 칼라마도 한눈에 알아봤다. 싯다르타가 자신과 똑같은 경지에 이르렀음을 말이다. 스승은 제자에게 제안했다. 자신과 함께 이 수행그룹에 머물며 사람들을 가르치자고 했다.
싯다르타의 생각은 달랐다. 그는 성취감보다 오히려 허전함을 느꼈다. 알라라 칼라마가 머무는 경지는 ‘고요’였다. 눈을 감고 명상에 몰입할 때 찾아오는 평화였다. 그 자리는 온통 비어있었다. 그래서 그 어떤 파도도 나를 칠 수가 없었다. 그러니 한없이 조용하고, 적적하고, 아늑했다.
DA 300
바이샬리(인도)=글·사진 백성호 기자 vangogh@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