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자의 호접몽

세상과 세상 사이의 꿈

모두 평화롭게! 기쁘게!

붓다를 만나다

생로병사의 고리 끊는 법, 120세 스승은 알지 못했다

장자이거나 나비이거나 2017. 10. 3. 13:52

 

생로병사의 고리 끊는 법, 120세 스승은 알지 못했다

백성호의 현문우답 -  붓다를 만나다 ⑨

 

알라라 칼라마는 ‘고요에 잠긴 요가 수행자’였다. 싯다르타는 드디어 그를 만났다. 알라라 칼라마는 출가한 왕자에 대한 소문을 익히 들었다. 싯다르타를 처음 본 알라라 칼라마는 이렇게 말했다.
 

제자 300명 거느린 알라라 칼라마
고해 저 편 고요의 경지로 이끌지만 …
“세상 고통에 눈감은 평온은 무의미”
싯다르타는 또 다른 스승 찾아 발길

 

“위세도 당당한 코끼리가 자신을 묶은 밧줄을 끊듯이, 그대는 애정의 얽매임을 끊고서 왕위도 버리고 출가했다. 늙은 왕이 자식에게 왕위를 물려주고서 숲으로 가는 건 놀랍지 않다. 그러나 한창 쾌락에 젖어 들 나이에 왕궁의 화려한 삶을 버리고 떠나온 그대는 참으로 놀랍다. 이 높은 가르침을 담기에 적합한 그릇이다. 지혜의 배를 타고 고통의 바다를 건너가라.”
 
알라라 칼라마는 싯다르타를 보면서 자신을 묶은 밧줄을 끊고 떠나온 코끼리에 비유했다.

알라라 칼라마는 싯다르타를 보면서 자신을 묶은 밧줄을 끊고 떠나온 코끼리에 비유했다.

자신의 묶는 밧줄의 의미는 뭘까. 그건 재가냐 출가냐가 아니라 스스로 자신을 묶는 에고의 집착이다.

자신의 묶는 밧줄의 의미는 뭘까. 그건 재가냐 출가냐가 아니라 스스로 자신을 묶는 에고의 집착이다.

알라라 칼라마는 처음 본 싯다르타를 ‘코끼리’에 비유했다. 그것도 ‘밧줄을 끊는 코끼리’였다. 그런 코끼리에게는 힘이 있다. 그 힘은 단지 재가의 삶을 뛰쳐나오는 힘이 아니다. 머리를 깎느냐, 깎지 않느냐를 가르는 힘도 아니다. 그건 나에게 너무도 익숙한 ‘에고의 눈’ ‘자기 중심의 눈’을 내려놓을 수 있는 힘이다. 그런 ‘눈’을 내려놓을 때 비로소 자신을 묶은 밧줄이 끊긴다. 알라라 칼라마는 젊은 싯다르타에게서 그런 가능성을 보았다.
고대 인도에는 불교가 생겨나기 전에 "지혜의 배를 타고 고통의 바다를 건너라"는 표현이 있었다.

고대 인도에는 불교가 생겨나기 전에 "지혜의 배를 타고 고통의 바다를 건너라"는 표현이 있었다.

 
그래서일까. 싯다르타에게 “지혜의 배를 타고 고통의 바다를 건너가라”고 말했다. 생로병사로 허덕이는 이쪽 언덕에서, 고해(苦海)를 건너 저쪽 언덕에 가 닿으라고 했다. 저 언덕은 고요의 언덕, 평온의 언덕, 더 이상 생멸의 파도가 치지 않는 언덕이다.
 
이 대목을 읽다가 나는 적잖이 놀랐다. 이 구절은 산스크리트어로 ‘마하 프라즈나 파라미타(maha-prajna-paramita)’이다. 이 산스크리트어 발음을 한자로 음역한 것이 ‘마하반야바라밀(摩訶般若波羅蜜)’이다. ‘마하’는 ‘거대한’이란 뜻이고, ‘반야’는 ‘깨달음의 지혜’, ‘바라밀’은 ‘이 언덕에서 저 언덕으로 건너가다’는 의미다.
'고해의 바다'라는 표현에서 나는 자유와 해탈을 갈망하는 인류의 오랜 목마름을 읽는다.

'고해의 바다'라는 표현에서 나는 자유와 해탈을 갈망하는 인류의 오랜 목마름을 읽는다.

 
붓다가 깨달음을 얻기 전이었다. 불교가 태동하기도 전이었다. 인도에는 이미 ‘고해의 바다’라는 표현이 있었다. 나는 거기서 인류의 오랜 목마름을 읽는다. 그렇다. 삶은 고통이다. 고통으로 출렁이는 바다다. ‘생겨난 것은 모두 소멸한다.’ 그 단순한 사실이 우리에게 고통으로 다가온다.
 
왜 그럴까. 우리는 생겨난 것에 집착하기 때문이다. 그것이 자식이든, 일이든, 돈이든, 명예든, 욕망이든, 아니면 자신의 생명이든 말이다. 우리는 영원하길 바란다. 그러나 생겨난 모든 것은 때가 되면 무너진다. 그래서 생로병사가 있다. 싯다르타가 출가한 까닭도 여기서 벗어나기 위함이었다.
 
알라라 칼라마는 당시 120세였다. 열 여섯 살 때 출가해 무려 104년째 수행을 하고 있었다. 그에게는 300명의 제자가 있었다. 그러니 상당한 규모의 수행 그룹이었다. 신입 수행자를 받을 때는 시험도 치렀다. 싯다르타에게는 그걸 면제해 주었다. 알라라 칼라마가 싯다르타에게서 ‘특별한 가능성’을 보았기 때문이다. 싯다르타는 알라라 칼라마의 제자가 됐다. 그리고 수행에 매진했다.
 
“코끼리가 밧줄 끊듯 얽매임 끊고 출가”
 
안개가 자욱하게 낀 바이샬리의 불교 8대 성지. 지금도 순례객들이 찾아와 그 앞에서 명상에 잠긴다.

안개가 자욱하게 낀 바이샬리의 불교 8대 성지. 지금도 순례객들이 찾아와 그 앞에서 명상에 잠긴다.

나는 바이샬리에 있는 ‘불교 8대 성지’ 를 찾아갔다. 새벽녘, 이른 시간이었다. 안개가 자욱했다. 그 안개를 뚫고서 높다랗고 둥그런 스투파(탑)가 희미하게 보였다. 가까이 다가갔다. 안개 속에 높다란 석주가 보였다. 꼭대기에는 돌로 깎은 사자가 앉아 있었다. 2300년 전에 세운 아소카 석주였다. 눈앞의 스투파에는 붓다의 사리가 잠들어 있었다. 붓다가 열반하자 8등분한 붓다의 사리 중 하나가 바이샬리로 왔다.
바이샬리의 불교 성지에 세워져 있는 아소카 왕의 석주. 꼭대기에는 사자상이 앉아 있다.

바이샬리의 불교 성지에 세워져 있는 아소카 왕의 석주. 꼭대기에는 사자상이 앉아 있다.

 
바이샬리는 무역도시였다. 예나 지금이나 똑같다. 강이나 바다를 끼고 있는 무역도시는 개방적이다. 다양한 인종, 다양한 학문, 다양한 문물이 들락거리기 때문이다. 이를 접한 사람들은 눈도 열고, 마음도 연다. 바이샬리도 그랬다. 훗날 붓다가 열반하고 100년의 세월이 흐른다. 깊은 산 속에서 불교를 수행하는 이들도 있었고, 바이샬리 같은 대도시에서 불교 수행을 하는 이들도 있었다.
 
100년이 흐르자 둘 사이에 차이가 생겼다. 산 속에서 고립돼 있던 수행그룹은 옛날 방식의 계율을 그대로 고집하고 있었고, 대도시의 수행 그룹은 대중과 소통하며 시대에 맞게끔 계율을 바꾸어 갔다. 그런데 산 속의 수행자들이 바이샬리로 내려왔다가 깜짝 놀랐다. 그들의 눈에 바이샬리의 불교는 더 이상 불교가 아니었다. ‘붓다의 전통’에서 한참 어긋나 있다고 봤다.
인도 북부의 바이샬리에는 ‘불교 8대 성지’중 하나가 있다. 2300년 전에 세운 아소카 석주와 둥그런 스투파(탑)가 있다. 당시 번성한 무역 도시였던 바이샬리는 싯다르타가 스승 알라라 칼라마를 만난 곳이다.

인도 북부의 바이샬리에는 ‘불교 8대 성지’중 하나가 있다. 2300년 전에 세운 아소카 석주와 둥그런 스투파(탑)가 있다. 당시 번성한 무역 도시였던 바이샬리는 싯다르타가 스승 알라라 칼라마를 만난 곳이다.

 
반면 바이샬리 승려들의 눈에는 산 속 불교가 이상했다. 그들은 대중과 소통하는 일에는 관심이 없었다. 오로지 ‘옛것’을 지키는 일에만 혈안이 돼 있었다. 결국 산 속 불교는 보수적인 ‘상좌부(上座部·테라바다) 불교’가 되고, 도시의 불교는 진보적인 ‘대중부(大衆部·마하삼기카) 불교’가 됐다. 둘은 그렇게 갈라졌다.
인도 델리 박물관에서 만난 간다라 지역의 불상.인도 북부를 원정한 알렉산더 대왕의 영향으로인도와 그리스 조각 양식이 함께 녹아 있다.

인도 델리 박물관에서 만난 간다라 지역의 불상.인도 북부를 원정한 알렉산더 대왕의 영향으로인도와 그리스 조각 양식이 함께 녹아 있다.

 
더 훗날 대중부 불교는 간다라지역과 중앙아시아를 거쳐 동북아의 ‘대승불교’로 이어지고, 상좌부 불교는 인도 남쪽의 스리랑카를 걸쳐 동남아로 흘러가며 ‘소승불교’로 자리를 잡았다. 물론 대승과 소승을 나누는 것도 대승불교적 관점이긴 하다.
 
바이샬리는 싯다르타 당시에도 그런 대도시였다. 그러니 알라라 칼라마 수행 그룹의 분위기도 대충 짐작할 수 있다. 상당히 유연하고 자유로운 환경이 아니었을까. 싯다르타는 300명이나 되는 선배 수행자들이 있다고 해서 결코 주눅 들지 않았다. 오히려 이렇게 생각했다.
 
“알라라 칼라마가 믿음이 있듯이 나도 믿음이 있다. 그가 정진할 수 있듯이 나도 정진할 수 있다. 그가 지혜가 있듯이 나도 지혜가 있다. 그러니 알라라 칼라마만 ‘텅 빈 고요(무소유처정)’에 머물 수 있는 것은 아니지 않은가.”
 
싯다르타는 둘로 보지 않았다. 그는 스승을 우상화하지도 않았다. 똑같은 잠재력을 봤고, 똑같은 가능성을 봤다. 알라라 칼라마가 닿을 수 있다면, 자신도 닿을 수 있다고 여겼다. 거기에는 나와 상대, 상대와 나를 둘로 보지 않는 ‘불이(不二)의 시선’이 녹아 있다. 싯다르타는 알라라 칼라마에게 단도직입적으로 물었다.
 
“저에게 늙음과 병듦과 죽음의 고리를 끊는 법을 알려주십시오.”
 
인도에서는 '윤회'를 산스크리트어로 '삼사라'라고 부른다. 인과에 의해 돌고도는 수레바퀴라는 뜻이다.

인도에서는 '윤회'를 산스크리트어로 '삼사라'라고 부른다. 인과에 의해 돌고도는 수레바퀴라는 뜻이다.

알라라 칼라마는 생로병사의 돌고도는 쳇바퀴를 ‘윤회(輪廻)’라고 불렀다. ‘바퀴 윤, 돌 회’자다. 산스크리트어로 ‘Samsara(삼사라)’다. 영어로 풀면 ‘Flow together’이다. 원인의 씨앗에 의해 결과가 열린다. 그렇게 둘이 함께 흘러간다. 돌고도는 수레바퀴처럼 말이다. 그러니 죽었다 다시 태어나는 일만이 윤회가 아니다. 세상 모든 일에는 원인과 결과가 있다. 밥을 먹으면 배가 부르고, 배가 부르면 화장실에 가야 하고, 화장실에 다녀오면 속이 비어진다. 그것이 바로 ‘Flow together’이다. 원인과 결과가 꼬리에 꼬리를 물고 흘러간다. 불교에서 말하는 윤회의 진정한 뜻은 ‘인과(因果)’다. 태어남이 씨앗(因)이라면 죽음은 결과(果)다. 싯다르타는 그 강고한 연결고리를 끊을 ‘칼’을 찾고 있었다.
 
어리석은 씨앗, 가슴 아픈 열매의 굴레
델리 박물관에서 만난 수천 년 전의 유골. 태어남이 있으면 죽음이 있게 마련이다. 사람의 생명 뿐만 아니다. 세상 모든 일에는 태어남과 죽음이 있다. 그게 불교에서 말하는 '윤회'다.

델리 박물관에서 만난 수천 년 전의 유골. 태어남이 있으면 죽음이 있게 마련이다. 사람의 생명 뿐만 아니다. 세상 모든 일에는 태어남과 죽음이 있다. 그게 불교에서 말하는 '윤회'다.

 
알라라 칼라마는 “윤회의 원인은 무지(無知)와 업(業)과 욕망”이라고 했다. 자기 중심적으로만 세상을 바라보며 이치에 대해 착각하는 게 ‘무지’이고, 그 무지로 인해 저지른 잘못들이 ‘업’이고, 자신을 위해 무지와 업을 자꾸만 저지르고 싶은 마음이 ‘욕망’이다. 이로 인해 우리의 삶에는 윤회가 펼쳐진다. 어리석은 씨앗이 자꾸만 심어지고, 가슴 아픈 열매가 자꾸만 열린다.
 
싯다르타는 열심히 수행했다. 결국 스승과 같은 경지에 도달했다. 알라라 칼라마도 한눈에 알아봤다. 싯다르타가 자신과 똑같은 경지에 이르렀음을 말이다. 스승은 제자에게 제안했다. 자신과 함께 이 수행그룹에 머물며 사람들을 가르치자고 했다.
 
싯다르타의 생각은 달랐다. 그는 성취감보다 오히려 허전함을 느꼈다. 알라라 칼라마가 머무는 경지는 ‘고요’였다. 눈을 감고 명상에 몰입할 때 찾아오는 평화였다. 그 자리는 온통 비어있었다. 그래서 그 어떤 파도도 나를 칠 수가 없었다. 그러니 한없이 조용하고, 적적하고, 아늑했다.
 
바이샬리의 유적지에서 인도의 여성들은 일을 하고 있었다. 그게 눈을 떴을 때 우리가 마주해야 하는 현실적 일상의 풍경이었다.

바이샬리의 유적지에서 인도의 여성들은 일을 하고 있었다. 그게 눈을 떴을 때 우리가 마주해야 하는 현실적 일상의 풍경이었다.

그런데 눈을 뜨면 달랐다. 좀 전의 고요와 평화는 순식간에 사라졌다. 대신 일상의 소리, 생활의 파도, 삶의 고뇌가 자신을 때렸다. 그래서 알라라 칼라마를 따르는 수행자들은 자꾸 눈을 감으려고만 했다. 눈을 떠서 현실을 보려고 하지 않았다. 눈 감았을 때의 그 아늑함 속에 계속 머물려고만 했다.
 
싯다르타는 눈을 떴을 때와 눈을 감았을 때의 고요가 차이가 없어야 한다고 여겼다.

싯다르타는 눈을 떴을 때와 눈을 감았을 때의 고요가 차이가 없어야 한다고 여겼다.

그것은 ‘절반의 실패’였다. 싯다르타는 거기서 한계를 절감했다. “눈을 떴을 때 생로병사의 고통이 여전하다면, 그건 문제를 푼 것이 아니다. 이 방식을 통해서는 깨달음을 얻을 수 없다”고 직감했다. 그래서 두 번째 스승 알라라 칼라마를 떠났다. 싯다르타는 이제 세 번째이자 마지막 스승을 찾아서 걸음을 옮겼다. 나도 버스를 탔다.

DA 300


 
바이샬리(인도)=글·사진 백성호 기자 vangogh@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