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부연 폭포 삼부연 폭포 왜 울고 싶은 날이 없을까요 서러운 마음 뚜우뚝 떨어지고 떨어지고 혼절해 버린 울음이 그네처럼 너울거리네요 꽃들이 죽어 별이 되다가 육신을 얻어 꽃이 되려던 별이 누군가의 시린 벽을 부여잡고 있네요 시퍼런 하늘을 장작 패는 날 바람처럼 도끼가 사방에서 날아드는 겨울이 깊어.. 하늘로 오르는사다리(시) 2008.03.04
이방인 이방인 못을 친다 다 흘러가 버린 줄 알았는데 그래도 남은 이름이라도 걸어두려는지 못을 칠 때 마다 울음이 쿵쾅거린다 아직 견고하게 남은 벽이 그렇지 않으면 자꾸 뭉특해져 튀어오르는 못이 일으키는 시퍼런 안광 새들의 지저귐을 읽어내지 못하면서 꽃들이 개화하는 고통을 듣지도 못하면서 막.. 하늘로 오르는사다리(시) 2008.03.03
[스크랩] 세계적 철학자 7명 릴레이 인터뷰 ① 시리즈를 시작하며 세계적 철학자 7명 릴레이 인터뷰 ① 시리즈를 시작하며 [중앙일보 배영대.최승식] “문명의 대전환점에 서있어요. 19세기 근대문명을 리드한 서양 앞에 그동안 동양은 꼼짝을 못했어요. 동양이 경제적으로 다시 일어서고 있는 이 시기에 새로운 문명을 전망하는 철학적 논의의 장이 서울에서 펼쳐지.. 뭇별이 들려주는 이야기(마음글) 2008.03.03
시를 권하는 사회 최근에 시집을 내고 출판사에 가서 수백 부의 사인 판매본에 이름을 적었다. 인터넷 서점을 통해 팔려나갈 거라 했다. 몇 시간 동안 똑같은 글자를 쓰고 나니 오른쪽 집게손가락이 쪼개질 듯 아렸다. 이 짓을 왜 하나 싶어 잠시 툴툴거렸지만 누구를 탓할 일은 아니었다. 시집을 한 권이라도 더 팔아주.. 뭇별이 들려주는 이야기(마음글) 2008.03.02
[스크랩] 1468m 경기 最高峰...바람의 산 뉴스: 1468m 경기 最高峰...바람의 산 출처: 세계일보 2008.02.29 11:37 뭇별이 들려주는 이야기(마음글) 2008.02.29
[스크랩] 한국의 세계문화유산 다시 보기-제 8편 고인돌유적 뉴스: 한국의 세계문화유산 다시 보기-제 8편 고인돌유적 출처: 조선일보 2008.02.29 09:18 뭇별이 들려주는 이야기(마음글) 2008.02.29
[스크랩] 한국의 세계문화유산 다시 보기-제 7편 경주역사유적지구 뉴스: 한국의 세계문화유산 다시 보기-제 7편 경주역사유적지구 출처: 조선일보 2008.02.29 09:17 뭇별이 들려주는 이야기(마음글) 2008.02.29
[스크랩] 한국의 세계문화유산 다시 보기-제 6편 수원화성 뉴스: 한국의 세계문화유산 다시 보기-제 6편 수원화성 출처: 조선일보 2008.02.29 09:17 뭇별이 들려주는 이야기(마음글) 2008.02.29
[스크랩] 한국의 세계문화유산 다시 보기-제 5편 창덕궁 뉴스: 한국의 세계문화유산 다시 보기-제 5편 창덕궁 출처: 조선일보 2008.02.29 09:16 뭇별이 들려주는 이야기(마음글) 2008.02.29
[스크랩] 한국의 세계문화유산 다시 보기-제 4편 종묘 뉴스: 한국의 세계문화유산 다시 보기-제 4편 종묘 출처: 조선일보 2008.02.29 09:16 뭇별이 들려주는 이야기(마음글) 2008.02.29
[스크랩] 한국의 세계문화유산 다시 보기-제 3편 해인사 장경판전 뉴스: 한국의 세계문화유산 다시 보기-제 3편 해인사 장경판전 출처: 조선일보 2008.02.29 09:15 뭇별이 들려주는 이야기(마음글) 2008.02.29
[스크랩] 한국의 세계문화유산 다시 보기-제 2편 석굴암 뉴스: 한국의 세계문화유산 다시 보기-제 2편 석굴암 출처: 조선일보 2008.02.29 09:15 뭇별이 들려주는 이야기(마음글) 2008.02.29
[스크랩] 한국의 세계문화유산 다시 보기-제 1편 불국사 뉴스: 한국의 세계문화유산 다시 보기-제 1편 불국사 출처: 조선일보 2008.02.29 09:14 뭇별이 들려주는 이야기(마음글) 2008.02.29
문학에서의 발견의 의미 문학에서의 발견의 의미 - 하늘 아래 새로운 것은 없다 나호열 1992년은 컬럼부스가 신대륙을 발견한 지 오백 년이 되는 해였다. 미국은 이를 기념하여 성대한 국가 차원의 기념행사를 치르려는 계획을 세웠으나 결과적으로 그 구상은 축소되어 진행되었다. 이는 유럽인의 관점에서 아메리카는 신대륙 .. 내가 쓴 시인론·시평 2008.02.23
어록 語錄 어록 語錄 아침 아홉시 반에 떠난 봉고차는 저녁 다시 반에 다시 그 자리로 돌아온다 환갑이 다된 아들은 바람을 피해 한 번도 울음소리 들리지 않는 공중전화 박스 안에서 발자국을 세고 있다 가끔은 길을 잃어버리고 자주 배고픔을 잊어버리는 아득한 거리 얘, 날도 추운데 나와서 기다리지 마라 치.. 하늘로 오르는사다리(시) 2008.0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