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자의 호접몽

세상과 세상 사이의 꿈

모두 평화롭게! 기쁘게!

그곳이 가고 싶다(신문 스크랩)

7번 국도

장자이거나 나비이거나 2015. 12. 5. 13:16

겨울바다로 가자, 모든 괴로움은 파도에 던져버리고…

 

입력 : 2015.12.03 04:00

484㎞의 낭만을 달린다 파도소리에 노래가 절로 나온다


	삼척 새천년도로에서 드론(drone)으로 촬영했다.
검푸른 바다를 곁에 두고 구불구불 해안도로가 이어진다. 동해안 7번 국도에는 그림 같은 해안도로가 곳곳에 숨어 있다. 삼척 새천년도로에서 드론(drone)으로 촬영했다. /양수열 영상미디어 기자

겨울바다 해안도로를 달린다. 동해를 옆에 두고 한반도 등뼈를 달리는 7번 국도 여행이다. 흥청거리던 여름 해변은 조용히 잦아들어 있다. 새삼 낭만이라 부르지 않겠다. 작은 번민 정도는 던져버릴 수 있다. '아무리 절망적인 상황이라 해도 우리가 달려가는 한은 절대로 절망적이지 않다'(김연수 소설 '7번 국도'). 그리하여 숱한 가객(歌客)들이 '겨울바다'를 노래했다.

'겨울바다로 가자 메워진 가슴을 열어보자/ 스치는 바람 불면 너의 슬픔 같이하자/ 너에게 있던 모든 괴로움들은/ 파도에 던져버려 잊어버리고…'(유영석 '겨울바다'·1988년)

볼륨을 높여 노래 들으며 간다. 7번 국도는 부산 중구에서 동해안을 따라 함경북도 온성에 이르는 남북 방향 도로. 전체 1192㎞ 중 휴전선 밑 강원도 고성까지 남쪽 484㎞('위키백과') 구간이다. 4차선 도로로 확장된 곳이 대부분이다. 바다가 시원하게 펼쳐지는 구간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곳이 더 많다. 실망할 필요는 없다. 중간중간 옛 도로 또는 해안도로로 빠져 바다를 바로 옆에 두고 달릴 수 있는 길이 곳곳에 숨어 있다.

강원도는 고성에서 삼척에 이르는 해안도로에 '낭만가도'라는 이름을 붙였다. 낭만가도 홈페이지(www.romanticroad.kr)에서 '드라이브하기 좋은 길' '바다가 좋은 해변'을 미리 확인할 수 있다.


	강릉 헌화로 심곡~금진 해안도로.
강릉 헌화로 심곡~금진 해안도로. 멀리 수평선에서 아침 해가 솟아오른다. / 양수열 영상미디어 기자
남쪽에서 북쪽 방향으로 달리는 게 바다에 가까워 더 좋지만 서울에서 간다면 방향을 반대로 해도 좋다. 속초 동명항으로 달려 인근 등대전망대나 영금정(靈琴亭)에서 바다를 바라본다. 영금정은 파도가 바위에 부딪치며 거문고 소리를 낸다 하여 이름이 붙었다. 바위에 철썩 부딪치는 파도 높이가 1m는 됨 직하다. 남쪽으로 내려가 양양 화상해안길을 달린다. 적절한 곳에 차를 세우고 한적한 해변을 걷는다.

'겨울바다 나가 봤지 잿빛 날개 해를 가린/ 갈 길 잃은 물새 몇이 내 손등 위에 앉더군'(김현식 '겨울바다'·1991년)

어느새 바뀐 노래를 흥얼거리며 다시 달린다. 강릉 옥계에서 정동진에 이르는 헌화로는 바다를 바라보며 달리기 좋은 도로다. 그중 심곡~금진 구간은 바다에 딱 달라붙은 길이 구불구불 이어진다. 바위에 부딪치며 솟아오른 파도가 도로를 덮친다. 날이 어두워진다. 정동진에서 하룻밤을 보내기로 했다. 이곳은 해돋이 명소로 유명한 곳. 이튿날 새벽 일출(日出)을 보러 다시 나섰다. 심곡~금진 구간에는 곳곳에 군(軍) 초소가 있다. 붉게 타며 솟아오르는 해돋이 장관(壯觀)을 사진에 담으려 초소 가까이 올라가려는데 젊은 장교가 멀리서 달려와 제지했다. "군법에 저촉될 수 있습니다." 주민증과 휴대전화 번호를 달라고 했다. "초소를 찍으면 안 된다"고 했다. 일출 사진 촬영을 막지는 않는다.

'물새도 가버린 겨울바다에/ 옛 모습 그리면서 홀로 왔어라// 굳어진 얼굴 위에 꿈은 사라져가도/ 떠날 수 없는 겨울바다여'(박인희 '겨울바다'·1977년)

헌화로 심곡~금진 구간을 벗어나기로 한다. 낭만가도라 불리는 해안도로가 여전히 이어진다. 삼척 새천년도로, 한재밑 해변과 맹방 해변을 달리는 해안도로가 상쾌하다. 궁촌 해변을 지나 대진항 인근 언덕 길에서 내려다보는 탁 트인 바다에 가슴이 시원해진다. 원평·초곡해변을 지나 내친김에 경북 울진·영덕 방향으로 더 내려가기로 한다. 영덕 해맞이공원에서 아래 바다를 내려다 보니 수평선이 저멀리 아득하다. 7번 국도를 달리기만 한다면 하루에도 갈 수 있다. 하지만 고성·속초·양양·강릉·동해·삼척·울진·영덕을 지나면서 낙산사·하조대·경포대·오죽헌 같은 명소를 한 곳씩만 들르려 해도 이틀이 모자른다.

'겨울바다로 가자 쓸쓸한 내 겨울바다로 그곳엔/ 사랑의 기쁨도 가버린 내 작은 고독이 있으리라'(김학래 '겨울바다'·1985년)

7번 국도를 달리다보면 'AH 6'이라고 쓰인 표지판을 함께 볼 수 있다. '아시안 하이웨이 6번 도로'라는 뜻이다. 이 길 북쪽으로 따라가면 함경남도 원산을 지나 러시아·중국을 거쳐 유럽까지 달릴 수 있다. 지금은 고성 통일전망대에서 북녘 땅을 그저 '전망'하는 데서 그쳐야 한다.

'그곳이 가고 싶다(신문 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제 토박이 조남명과 원대리 자작나무숲  (0) 2015.12.17
토왕성 폭포  (0) 2015.12.07
전남 장흥  (0) 2015.12.03
낙원이 따로없네, 철새 도래지 5곳  (0) 2015.11.30
토왕성 폭포  (0) 2015.1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