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자의 호접몽

세상과 세상 사이의 꿈

모두 평화롭게! 기쁘게!

2024/05/18 6

조경가 정영선, 땅에 시 쓰면서 미나리아재비 심는 이유

조경가 정영선, 땅에 시 쓰면서 미나리아재비 심는 이유 [김민철의 꽃이야기]김민철 기자입력 2024.05.14. 00:00업데이트 2024.05.14. 10:18 선유도공원, 경춘선 숲길, 디올 성수, 아모레퍼시픽 신사옥, 제주 오설록 티뮤지엄, 국립중앙박물관, 예술의전당, 광화문광장, 서울식물원, 여의도 샛강생태공원, 호암미술관 전통정원 희원….훨씬 더 많이 열거할 수도 있다. 이 장소들의 공통점이 떠오르는가. 조경가 정영선이 설계한 정원을 갖고 있다는 것이다. 또 공통점이 있다면 정원을 거닐면 편안하고 우리 꽃과 나무를 많이 볼 수 있는 공간이라는 점이다.◇“검소하되 누추하지 않게”대부분 필자도 가본 곳들이다. 누가 설계했는지는 생각도 못한 채 “우리 조경도 참 좋아졌다”, “우리 꽃과 나무를 좋아하..

카테고리 없음 2024.05.18

악어 떼가 충주호로 들어간다

악어 떼가 충주호로 들어간다[아무튼, 주말][오종찬 기자의 Oh!컷]오종찬 기자입력 2024.05.18. 01:00업데이트 2024.05.18. 08:50   [Oh!컷] 충북 충주시 월악산 자락이 충주호에 잠겨 마치 악어처럼 보인다고 해서 이름 붙여진 '악어섬'을 하늘에서 내려다본 풍경. / 오종찬 기자 충북 충주시 살미면 충주호에는 악어 떼가 산다. 산과 물이 어우러져 만들어낸 경관이 마치 악어처럼 생겨서 ‘악어섬’이라고 하는 곳이다. 드론을 띄워 하늘에서 내려다보니 마치 악어 여러 마리가 일제히 물로 헤엄쳐 들어가는 듯한 장관이 펼쳐졌다. 충주호는 1985년 충주댐이 완공되면서 생겼다. 수위가 높아지고 월악산 자락이 절묘하게 물에 잠기자 이처럼 악어 모양이 형성됐다.지형적으로는 섬이 아니지만 사람들..

어느 생물학자의 시 읽기

어느 생물학자의 시 읽기김응빈 연세대 시스템생물학과 교수·유튜브 '김응빈의 응생물학' 운영입력 2023.11.10 10:01사진=클립아트코리아시를 읽고 느끼는 감성과 해석의 폭과 깊이는 사람마다 다 다르다. 내 경험을 하나 소개하자면, “숲길 짙어 이끼 푸르고”로 시작하는 신석정(1907-1974) 시인의 를 읽으면 음지식물이 떠오른다. 쉽게 말해서 음지식물은 햇빛이 덜 드는 그늘에서 잘 자라는 식물이다. 식물은 빛을 받아야만 살 수 있다. 광합성을 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보통 식물들은 그늘에서 벗어나려 한다. 예컨대 다른 식물이 빛을 가리면 그 식물보다 위로 가려고 길이 성장을 열심히 한다. 우리 눈에 보이지는 않지만, 식물들은 햇빛을 놓고 치열한 생존경쟁을 벌이고 있다. 이를 음지회피라고 한다...

[53] 땅에 귀를 기울이면

[신수진의 마음으로 사진 읽기] [53] 땅에 귀를 기울이면신수진 예술기획자·한국외국어대 초빙교수입력 2023.03.03. 03:00  벼락같이 봄이 왔다. 텅 빈 하늘에 온기가 번지고, 물 올림을 갈망하는 나뭇가지에도 초록이 비친다. 꽃샘추위가 남았지만, 이제 어깨를 펴야 한다. 오늘도 어김없이 봄, 여름, 가을, 겨울, 그리고 다시 봄으로 이어지는 계절의 순환이 거스를 수 없는 변화를 만들고 있다.정주하(1958~ ) 작가는 작품이 이끄는 삶을 살았다. 지역에 있는 대학에 교수로 부임하면서 처음 가지게 된 농촌과 농부, 농사일에 대한 관심은 사진 작업으로 이어졌고, 어느새 그를 온전히 그곳 사람으로 만들었다. 1200평 농사를 짓고, 마을 이장도 하고, 환경운동도 앞장서는 그의 작가적 관심과 일상의 ..

[185] 영서연설(郢書燕說)

[정민의 세설신어] [185] 영서연설(郢書燕說)정민 · 한양대 교수 · 고전문학입력 2012.11.20. 23:30업데이트 2012.11.21. 01:36우암 송시열 선생께서 손자를 가르치다가 영 속이 상하셨던 모양이다. 손자에게 주는 시 두 수를 남겼다. 그중 둘째 수. "내가 직접 모범 보여 손자 교육 못하니, 타일러도 우습게 아는 것이 당연하다. 내 말은 그래도 성현의 말씀이고, 네 자질은 다행히 못난 사람 아니로다. 맹상군이 무를 캠이 어이 뿌리 때문이랴, 영서(郢書)의 거촉(擧燭)으로 어진 신하 길 열었네. 선생 비록 바르지 않다손 치더라도, 네 덕을 새롭게 함에 어이 방해되겠느냐?(我敎小孫不以身, 宜其邈邈此諄諄. 余言而自聖賢說, 汝質幸非愚下人. 趙相采 豈下體, 郢書擧燭開賢臣. 雖云夫子未於正,..