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베네치아 뒤덮는 한국의 근현대 걸작들
세계 최대 베네치아 비엔날레
한국 회화 거장들 전시 잇따라
![](https://blog.kakaocdn.net/dn/dR4QQh/btsEj7Ney9d/zRuSuCf3WvEW7BMwnZejO1/img.jpg)
올해 이탈리아 베네치아의 유서 깊은 고택과 수도원이 한국 미술로 뒤덮인다. 오는 4월 시작되는 세계 최고(最古)·최대 미술 축제 베네치아 비엔날레 기간, 유영국·이성자·이배 등 한국 근현대 회화 거장들의 특별전이 도시 곳곳에서 열려 ‘K미술’의 정수를 선보이기 때문이다. 이 기간 베네치아는 국제 미술계의 이목이 집중되는 곳. 한국 미술의 폭넓은 스펙트럼과 저력을 알릴 절호의 기회다.
![](https://blog.kakaocdn.net/dn/bemFsx/btsEhGC2BW7/1vKPdyglUlC9Iu5hB2Ofg1/img.png)
◇유럽서 처음 소개하는 K추상미술 선구자
가장 주목되는 전시로 ‘한국 추상 미술의 선구자’ 유영국(1916~2002) 개인전이 꼽힌다. 세계적인 건축가들이 협업한 건축물인 퀘리니 스탐팔리아 재단 건물의 3개 층에서 열리는 ‘유영국: 무한 세계로의 여정’이다. 베네치아 비엔날레 재단이 공식 선정한 병행 전시로, 유럽에서 개최되는 유영국의 첫 개인전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형·색·면으로 우주의 질서를 표현한 유영국은 고향 울진의 높은 산과 깊은 바다의 장엄한 아름다움을 회화로 표현하면서 독자적인 작품 세계를 구축했다. 이중섭이나 김환기에 비해 덜 알려졌지만, 최근 급부상해 지난해 미국 뉴욕 페이스 갤러리에서 처음으로 개인전이 열린 데 이어 유럽의 심장인 베네치아까지 진출하게 됐다.
전시 기획을 맡은 김인혜 전 국립현대미술관 근대미술팀장은 “한국의 단색화 세대 이전에 서양 회화의 언어를 쓰면서 한국의 숭엄한 자연을 신비한 에너지로 표현하고 강렬한 원색을 과감히 병치한 작가가 있었다는 걸 서구 관람객에게 제시하는 자리”라며 “유영국이 한국의 자연에 몰두하며 작품 활동의 절정기를 이룬 1960~1970년대 작품을 대거 소개할 것”이라고 했다.
![](https://blog.kakaocdn.net/dn/bjLCCy/btsEkTHYMue/8Y5NyqcSJsUi7G4sQepoU0/img.jpg)
프랑스 파리에서 예술혼을 불태웠던 화가 이성자(1918~2009) 개인전도 기대를 모은다. 베네치아 아르테노바에서 열리는 ‘이성자: 지구 저편으로’는 동양의 철학인 음양오행을 바탕으로 서양 기법을 녹여내며 자신만의 세계를 일군 화가를 조명한다. 세 아들을 두고 홀로 떠난 파리에서 작업에 몰두한 그는 생전 “내가 붓질을 한 번 하면서, 이건 내가 우리 아이들 밥 한 술 떠먹이는 것이고, 이건 우리 아이들 머리를 쓰다듬어 주는 것이라고 여기며 그렸다”고 했다. 국립현대미술관 관장을 역임했던 바르토메우 마리가 기획을 맡아 대표작 20여 점을 선보인다.
![](https://blog.kakaocdn.net/dn/ck3dxD/btsElKcZFhB/FL1y4nck4DneonM9VFgtvk/img.jpg)
◇30주년 맞은 한국관· 광주비엔날레 특별전도
올해 베네치아 비엔날레에 한국관이 건립된 지 30주년을 맞아 성대한 특별 전시도 열린다. 12세기 중세 건축물인 베네치아 몰타기사단 수도원에서 열리는 ‘모든 섬은 산이다’ 특별전은 역대 한국관 작가 38명(팀)의 개별 작업을 당시 전시작부터 신작까지 총망라해 80여 점 펼친다. 임근혜 아르코미술관 관장은 “전시명은 ‘예술을 통한 시간과 공간의 연결’을 상징하는 것으로, 한국관 건립의 산파 역할을 한 고(故) 백남준의 예술 철학에 상상력을 더해 고립된 개인과 분열된 사회를 연결하는 예술의 힘을 보여주려 한다”고 했다.
![](https://blog.kakaocdn.net/dn/Am10x/btsEig5enmX/QwQ0WcxMxlalWUoDgswMuK/img.jpg)
광주비엔날레 30주년 기념 아카이브 특별전 ‘마당-우리가 되는 곳’도 공식 병행 전시로 선정됐다. 일 지아르디노 비안코 아트스페이스에서 비엔날레 30년을 빛낸 주요 작품과 기록을 엄선해 전시한다. 제1회 출품작인 백남준의 ‘고인돌’을 전시하고, 김실비·김아영·전소정 등 여성 작가 세 명을 소개한다.
지난해 미국 뉴욕 맨해튼 심장부에 초대형 조각을 세웠던 ‘숯의 화가’ 이배(68) 개인전도 열린다. 빌모트 파운데이션에서 열리는 ‘달집 태우기’는 우리나라 전통 의례 중 하나인 달집 태우기에 대한 작가의 오마주와 탐구를 보여준다.
◇한국관 작가는 구정아
올해 한국관 단독 작가로 선정된 주인공은 설치미술가 구정아(57)다. 개인전 ‘구정아-오도라마 시티’를 통해 향기, 기억 등을 활용한 한반도의 무형적 지도를 전 세계 관객과 함께 그릴 계획이다. 본전시에는 한국 1세대 여성 조각가 김윤신(89)과 이강승(46)이 참여한다. 김윤신은 나무와 돌 등 자연 재료를 톱으로 다듬어 재료의 속성을 최대한 드러내는 조각가다. 올해 국제갤러리, 미국계 리만머핀 갤러리와 공동 소속 계약을 맺은 데 이어 베네치아 비엔날레 본전시에 참여하며 세계 미술계에 이름을 알리게 됐다. ‘한국의 미켈란젤로’ 이쾌대(1913~1965)와 월전 장우성(1912~2005) 작품도 본전시에서 소개될 예정이다. 홈페이지(labiennale.org/en/art/2024)에서 예매. 성인 기준 25.5 유로(3만7000원).
'문화마을 소식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기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 신해철 음악작업실이 지난 24일 완전 철거됐다 (0) | 2024.02.26 |
---|---|
끝내 문 닫는 33년 역사 '학전'…김민기 "모두 다 그저 감사하다" (0) | 2024.02.23 |
동화작가 이금이, '아동문학 노벨상' 안데르센상 최종후보 (0) | 2024.01.22 |
美 보스턴미술관 ‘고려 사리’ 환수 되나… 조계종 “내달 반환 협상” (1) | 2024.01.08 |
"가자." "안 돼." "왜?" "고도를 기다려야지." "아, 그렇지!" (1) | 2023.1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