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식의 메타버스 사피엔스]
[1] 디지털 외로움과 전체주의
철학자 해나 아렌트(Hannah Arendt)는 고향 독일의 민주주의 몰락과 나치당 집권, 그리고 2차 세계대전과 유대인 대학살을 경험했다. 홀로코스트 기획을 담당했던 아돌프 아이히만의 재판을 추후 목격하며, 아이히만 역시 너무나도 하찮고 평범한 사람이었다는 ‘악의 평범함’을 주장한 그녀는 우리에게 중요한 메시지를 하나 남겼다. 바로 “민주주의 사회에서 전체주의는 인간의 외로움을 통해 가능해진다”는 말이었다.
왜 외로움이 전체주의를 가능하게 한다는 것일까?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다. 다른 동물보다 특별히 더 강하지도, 빠르지도 않기에 협업만이 인류 역사 대부분에서 생존을 보장하는 유일한 방법이었다. 남들과 함께 있으면 안전하지만, 홀로 남으면 위험하다! 여전히 우리 뇌 속 깊숙이 박혀있는 본능 중 하나다. 그런데 여기서 문제가 생긴다. 인간은 동시에 이기적 유전자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기적 유전자는 혼자 선택하고, 자신만의 이익을 위해 행동하라고 명령하지만 ‘전체’와 사회 중심에서 멀어지는 순간 우리는 다시 불안함과 외로움을 느낀다.
아렌트는 ‘외로움’과 ‘고독’은 구별할 필요가 있다고 말한다. 고독은 혼자 있지만 자신만의 정체성과 자아가 뚜렷한 이들의 상태를 표현한다. 예술과 과학, 그리고 인류 역사상 혁신의 대부분은 고독을 조건으로 한다. 반대로 아직 독립적 자아가 완성되지 않은 이들은 참을 수 없는 외로움의 무게를 느낀다. 홀로 남겨진 불안함을 버티기 어렵기에 외로움은 ‘강한 리더십’과 ‘강한 국가’, 그리고 개별적 자아가 녹아 들어갈 수 있는 전체주의 사상을 추구할 수 있다는 말이다.
디지털 기술을 기반으로 한 사회적 교류가 주류가 될 미래 메타버스 시대. 어쩌면 메타버스 사회는 인류 역사상 가장 외로운 인간들의 시대가 될 수도 있다. 개인의 자유와 선택을 극대화 해준다는 메타버스는 그렇기에 역설적으로 개인의 자유를 가장 억압하는 전체주의적 디스토피아를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김대식의 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3] 나의 현실, 우리의 현실 (0) | 2024.02.02 |
---|---|
[2] 각자의 진실이라는 궤변 (0) | 2024.01.26 |
과거를 왜곡할 수 있는 시대 (0) | 2023.06.27 |
1만년의 고독 (0) | 2023.03.21 |
외롭지 않으려 발전한 인류 (0) | 2020.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