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자의 호접몽

세상과 세상 사이의 꿈

모두 평화롭게! 기쁘게!

유물과의 대화

단군, 신화인가 역사인가

장자이거나 나비이거나 2016. 4. 2. 21:10

日 학자들 "단군, 후대에 날조"… 최남선 "역사 반영한 神話"

입력 : 2016.03.30 05:49

[고대사의 진실을 찾아서] [2] 단군, 신화인가 역사인가

서영대 인하대 사학과 교수
언제부터인가 단군(檀君)에 대한 이야기를 '단군신화'라고 하면 '일제 식민사학의 아류(亞流)'로 비난받게 된다. 신화란 허구를 뜻하는데, 일제가 단군조선의 역사를 날조로 돌리고 한국 역사의 유구함을 부정하기 위해 단군신화라는 말을 사용했다는 것이다.

일본인들이 단군 문제를 본격적으로 거론하기 시작한 것은 1890년대부터이다. 대개는 '단군전설'이라고 했다. '단군신화'라는 말은 한말 이래 한국인 학자들이 사용했다. 1908년 단재 신채호가 '독사신론(讀史新論)'에서 "신시(神市)시대에는 신화에 의하여 인민을 규합하였다"고 한 것이 그것이다. 당시 동아시아에는 신화를 가진 국가가 오랜 역사를 가진 문명국이란 인식이 있었다. 동양보다 앞선 서양문화의 토대가 그리스·로마 신화라고 여겼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단군신화란 말이 타당한지를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단군에 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13세기에 편찬된 '삼국유사'이다. 단군은 하늘신의 아들인 환웅과 곰여인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고조선을 1500년간 통치하다가 아사달의 산신(山神)이 되었다고 한다. 이런 비현실적 스토리는 설화의 장르로 보았을 때 신화라고 할 수밖에 없다.
이미지 크게보기
북한 평양직할시 강동군 문흥리 대박산 기슭에 있는 단군릉. 고려시대부터 단군릉으로 전해져 오던 무덤을 1993년 발굴하여 높이 22m, 너비 50m, 면적 1.8㎢의 피라미드형으로 다시 쌓았다. /현정회 제공

 

조선시대 유학자 "황당하다"
비판하면서도 開國시조 인정
최근 中 학계도 연구 본격화
신화 통해 역사 재구성해야

 

그렇다면 신화라고 해서 역사와는 무관한 것일까. 조선시대 지식인들은 유교적 합리주의에 입각하여 "단군신화는 황당하다"고 비판했다. 그러나 단군의 존재와 고조선의 실재를 부정하지는 않았다. 단군을 개국(開國) 시조로 인정해 단군에서 한국사의 서술을 시작함은 물론, 국가 차원에서 단군 제사를 정기적으로 거행했다. 한말에 단기(檀紀)를 사용하고 개천절을 제정하는 등 일제 침략에 대항할 민족적 구심점으로 단군을 부각시킨 것도 단군 인식이 확고한 토대 위에서 가능했다.

그러나 한국을 강점한 일본인들의 관점은 달랐다. 일본인들 간에도 입장의 차이가 있었다. 하나는 단군의 존재를 인정하는 입장이었다. 그들은 단군을 일본 천황가의 시조신인 아마테라스의 동생이라고 했다. 따라서 한국과 일본은 뿌리가 같기 때문에 일제의 한국 강점은 과거 역사로의 복귀라는 것이다. 이것은 소위 '내선일체'라는 동화정책의 논리이다. 반면 단군은 가공의 인물이며, 단군전승은 민간에 전해지는 전설에 불과하다는 입장이 있었다. 시라토리 구라키치(白鳥庫吉)나 나카 미치요(那珂通世) 같은 일본 관변학자들의 논리가 그것이다. 그들은 단군은 고구려 또는 고려시대에 날조된 것이며, 역사적 사실을 반영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고조선의 역사도 인정할 수 없다고 했다.

우리 정부가 정한 단군의 표준영정. /현정회 제공

식민사학의 논리는 한국인의 자기 역사에 대한 자부심과 민족적 정체성을 송두리째 위협했다. 그래서 한국 지식인들은 단군 부정론을 비판하고 단군의 역사성을 입증하고자 했다. 여기에 앞장선 이가 최남선이다. 그는 서구 신화학 이론을 도입하여 단군전승은 오래된 민족의 신화라는 점을 강조하면서 고조선 시조로서 단군의 위치를 확실히 했고, 단군왕검이란 명칭을 통해 고조선이 제정일치 단계의 사회라고 주장했다. 경제사학자 백남운은 단군신화를 원시공동체 말기 사회를 반영하는 것이라고 했다. 이런 관점은 지금도 이어지고 있으며, 그 결과 식민사학의 논리는 많이 극복됐다.

최근 중국 학계도 단군 연구를 본격화하고 있다. 중국 학계는 단군 긍정론과 부정론이 있다. 전자는 단군신화에서 중국적 요소를 강조함으로써 고조선 문화의 독자성을 간과한다. 후자는 단군과 함께 단군조선의 실재성을 부정한다. 중국 학계의 연구를 비판적으로 극복하는 것이 새로운 과제이다.

건국 신화에는 역사적 사실이 많이 담겨있다. 단군전승도 신화인 동시에 역사이다. 단군이 신화인가 역사인가라는 논란을 접어두고 신화를 통해 역사를 재구성하는 길을 모색해야 한다.

공동 기획: 한국고대사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