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자의 호접몽

세상과 세상 사이의 꿈

모두 평화롭게! 기쁘게!

시창작의 기초 학습

시작법 제 9강 시의 이미지성

장자이거나 나비이거나 2010. 12. 5. 14:02

시작법 제 9강 시의 이미지성(1)

 

1. 이미지의 정의

 

이미지는 직접적 신체적 지각이나 간접적 신체적 지각에 의해 일어난 감각이 마음속에 재생된 것을 말한다. 한때 지각 되었으나 현재는 지각되지 않는 어떤 것을 기억하려고 하는 경우나, 체험 상 무방향적 표류의 경우, 혹은 상상력에 의해서 지각 내용을 결합하는 경우나 꿈과 열병에서 나타나는 환각 등의 경우처럼 직접적인 신체적 자각이 아니더라도 마음은 이미지를 생산해 낼 수 있다

 

                                                                                             - Allex Preminger

 

   1) 이미지는 형상( 形象 )이다

 

* 형상은 감각적. 직관적으로 주어지는 구체적인 상象 이다

* 형상은 예술의 기초이다.

* 의도적으로 미적 형상을 만들어 내는 것이 예술이다.

 

   2) 시인이 독자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어떤 것’을 드러낸다.

 

① 시인이 생각하고 있는 관념(觀察思念)

② 시인의 실제적 경험

③ 시인의 상상적 체험

 

* 관념의 肉化이다.

 

  3) 에이브럼즈의 정의

 

 

ⓛ 한 편의 시나 다른 문학작품 속에서 언급되는 감각과 지각의 모든 대상과 특징을 의미한다. 광의 개념이라고 할 수 있는데, 묘사나 인유, 비유 등을 가리지 않고 문학 작품 속에 나타난 광범위한 감각과 지각의 개념을 포괄 하여 모두 이지지로 보는 것이다.

 

② 시각적 대상과 장면의 요소를 의미한다. 가장 협의적으로 의미를 국한하는 것이다. 언어의 그림 (루이스)

 

<예문 시>

 

관악산 머리 위로 불쑥,

새 한 마리가 넘어오고 있었다

아니다 관악산 머리 위로 불쑥,

보잉 707 한 대가 넘어오고 있었다

아니다 관악산 머리 위로 천천히

새 한 마리가 날고 있었다

아니다 관악산 머리 위로 천천히

보잉 707 한 대가 선회하고 있었다

 

서쪽 하늘은 온통 금빛 잠자리 나래들로 분주하다

 

                                                          이시영 - 「1995년 9월, 석양」

 

 

 

③ 비유적 언어 figurative language를 지칭하는데 은유와 직유의 보조관념을 말한다. 가장 일반적인 경우이다.

 

<예문 시>

 

주름의 집이 기우뚱 하수구 위로 기운다

금방 쓰러져 캄캄한 하수구 맨홀 속으로

빨려들 것처럼 구부린다

아주 주저 앉는다

집이, 오랜 세월을 견뎌온 주름의 집이,

그리고는

차창에 스치는 붉은 꽃을 마구 토해낸다

환한 대낮, 수많은 주름이 집을 의지한 채

길가에 비틀비틀 부지런히 방향을 찾고 있다

 

유강희 - 「老人」

 

2. 이미지의 기능

 

신선감, 강렬성, 환기력 - C.D Lewis

 

<예문 1>

 

누이야

가을산 그리메에 빠진 눈썹 두어 낱을

지금도 살아서 보는가

淨淨한 눈물 돌로 눌러 죽이고

그 눈물 끝을 따라가면

즈믄 밤의 강이 일어서던 것을

그 강물 깊이깊이 가라앉은 고뇌의 말씀들

돌로 살아서 반짝여오던 것을

더러는 물속에서 튀는 물고기 같이

살아오던 것을

그리고 산다화 한 가지 꺾어 스스럼없이

건네이던 것을

 

누이야 지금도 살아서 보는가

가을산 그리메에 빠져 떠돌던, 그 눈썹 두어 낱을 기러기가

강물에 부리고 가는 것을

내 한 잔은 마시고 한 잔은 비워두고

더러는 잎새에 살아서 튀는 물방울 같이

그렇게 만나는 것을

 

누이야 아는가

가을산 그리메에 빠져 떠돌던

눈썹 두 어 낱이

지금 이 못물 속에 비쳐옴을

 

                                                - 송수권 「산문에 기대어」

 

* 낯설기 하기의 기법

 

淨淨한 눈물 돌로 눌러 죽이고

돌로 살아서 반짝여오던 것을

 

<예문 2>

 

장작을 팬다

야성의 힘을 고눈 도끼날이 공중에서 번쩍

포물선으로 떨어지자

부드러운 목질에는 성난 짐승의 잇자국이 물리고

하얗게 뿜어나오는 나무의 피의

향기,

온 뜰에 가득하다

 

물어라

이빨이 아니면 잇몸으로라도

저 쏘나기처럼 박히는 금속의 자만을

물고서 놓지 말아라

도끼날이 찍은 생목은 엇갈린 결로서 스크람을 짜며

한사코 뿌리치기를 거부하지만

땀을 흘리며 숨을 몰아쉬며 도끼날을 뽑아가는

사내의 노여움을 어쩔 수 없다

 

                                                    이수익 - 「장작패기」

 

* 대항성 언어의 대비 구조

성난 짐승의 잇자국 ↔ 하얗게 뿜어나오는 나무의 피의

 

<예문 3>

 

하이얀 입김 절로 가슴이 메어

마음 허공에 등불을 켜고

내 홀로 밤 깊어 뜰에 나리면

 

머언 곳에 여인의 옷 벗는 소리

 

                               김광균 - 「雪夜」

 

* 회화적. 관능적인 시

* 마지막 연의 환기성

 

 

3. 이미지의 종류

 

1) 언어발달의 단계에 따른 분류

 

정신적 이미지 mental image

비유적 이미지 figurative image

상징적 이미지 symbolic image (원관념이 생략된 은유)

 

2) 대상과의 관계에 따른 분류

 

상대적 이미지

절대적 이미지

 

3) 정신적 이미지

 

* 언어에 의하여 우리의 마음속에 떠오른 감각적 이미지이다.

* 정신적 이미지의 종류

 

① 시각적 이미지

② 청각적 이미지

③ 미각적 이미지

④ 후각적 이미지

⑤ 촉각적 이미지

⑥ 기관 이미지

* 심장의 고동과 맥박 호흡, 소화

 

⑦ 근육감각적 이미지

* 근육의 긴장과 움직임을 그려내고 있는 이미지

 

4) 상대적 이미지와 절대적 이미지

 

① 상대적 이미지

 

* 대상을 가진 시

* 보편성을 지향한다

* 진리, 윤리, 도덕의 가치관 존중

* 삶의 가치를 전달하는 기능 중시

* 지속적, 집중적, 축소적 이미지의 구조

 

② 절대적 이미지

 

* 특정 시인의 상상 속에서만 존재하는 이미지

* 개벌성에 의존 한다

* 병렬적 이미지 구조

 

1) 김춘수의 무의미시

2) 이승훈의 비대상의 시

 

 

 

시작법 제 9 강 시의 이미지성 (2)

 

1. 이미지의 구조

 

   1) 진행 형태에 따른 분류

 

      ① 지속적 이미지

 

* 전체의 이미지들이 하나의 흐름을 지닌다

* 시작과 끝이 맺어진다

* 장시, 교훈시, 선전시

 

     ② 집중적 이미지

 

        * 여러 이미지들이 나타나나 결국 주된 한 이미지로 결집된다

 

    ③ 병렬적 이미지

 

* 주된 이미지의 간섭없이 모든 이미지가 동등하게 나열되는 것이다.

* 절대적 이미지가 중복적으로 구성되는 경우

 

   ④ 확산적 이미지

 

* 이미지가 작거나 부분적인 것에서 많거나 큰 것으로 확대되는 경우

* 축소적 이미지 (집약적 이미지)의 반대 경우이다.

 

   2) 이미지 없이도 시를 쓸 수 있다.

 

시각적 이미지 등 한 가지를 선택할 수도 있고, 여러 가지가 복합적으로 사 용될 수도 있으며, 공감각적 이미지를 쓸 수도 있다.

 

< 예문>

 

사랑하는 사람과 함께 가겠어요

어떤 희생이 따를지 따져 보지 않겠어요

그것이 잘한 일인지 생각하지 않겠어요

그가 나를 사랑하는지 알고 싶지 않아요

사랑하는 사람과 함께 가겠어요

 

                               -베르톨트 브레히트 「사랑하는 사람과 함께 가겠어요」

 

* 공감각적 이미지

 

두 가지 이상의 감각이 서로 결합하여 새로운 이미지를 만들어낸다

 

예) 부르는 울음이 붉게 타고 있다

 

감각과 관념의 결합을 통해서도 공감각적 이미지를 만들 수 있다.

 

예) 맵고도 쓴 시간이 흘러가고 ...

 

2. 이미지의 선택 원리

 

1) 이미지즘 운동의 선구 : 흄과 알딩턴의 이미지스트 선언

 

① 일상어를 사용하되 정확한 말을 고르며, 모호한 말이나 장식적인 말을

배척한다

② 새로운 기분의 표현으로서 새로운 리듬을 창조하지 않으면 안된다

③ 題材의 선택은 자유로와야 한다

④ 명확한 이미지를 제공한다

⑤ 모호하고 불확정적인 것이 아니라 견고하고 명확한 시를 쓴다

⑥ 긴축된 것만이 시의 본질이다

 

2) 이미지의 선택은 자의적인 것이 아니라 시인이 표현하고자 한 주관적 정서 에 좌우된다.

3) 정서는 이미지 선택의 원리이다.

 

 

3. 이미지 시의 단점과 보완

 

1) 감각적 이미지의 한 측면만을 강조하면 시가 공소해진다

 

<예문>

 

대들이 휘인다 - 시각

휘이면서 소리한다 - 청각

연사흘 밤낮 내리는 흰 눈발 속에서 - 시각

우듬지들은 흰 눈을 털면서 소리하지만 - 청각

아무도 알아듣는 이가 없다

어떤 대들은 맑은 가락을 지상에 그려내지만 - 청각

아무도 알아듣는 이가 없다

눈뭉치들이 힘겹게 우듬지를 흘러내리는 - 시각

대숲 속을 가만히 들여다보면 - 시각

삼베 옷 검은 두건을 들친 백제 젊은 修士들이 지나고 - 시각

풋풋한 망아지떼 울음들이 찍혀 있다 - 청각

연사흘 밤낮 내리는 흰 눈발 속에서 - 시각

대숲 속을 가만히 들여다보면 - 시각

한밤중 암수 무당들이 댓가지를 흔드는 붉은 쾌자자락들이 보이고 -시각

활활 타오르는 모닥불을 넘는 - 시각

미친 불개들의 울음소리가 들린다 - 청각

 

                                                 - 송수권 「눈 내리는 대숲 가에서」

 

2) 시각적 이미지는 정태적이고 안정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다.

3) 청각적 이미지는 움직이는 속성을 가진다.

 

4. 이미지의 적절한 활용 - 이지엽

 

1) 이미지의 생명은 명확함과 새로움이다. 모호한 이미지는 오히려 시상의 전개 에 도움을 주지 못한다

2) 내 시가 힘이 없이 나약하다면 시각적 이미지로 표출되는 동태적인 장면을 묘사해보자. 더 나아가 청각이나 후각, 근육감각적인 이미지 등을 활용해 보 자

3) 내 시가 너무 들 떠 있다고 판단되면 동태적인 면보다는 정태적인 가운데 아 주 느릿한 움직임들이나 존재하는 것을 촘촘한 사고로 엮어보자

4) 시각적 이미지는 집중의 효과를 나타내는데 적합하고 청각적 이미지는 분산 과 확산의 효과를 나타내는데 적합하다

5) 한 이미지만을 즐겨 쓰는 것은 시인의 개성일 수 있으나 그것에 대해 특별한 신념이 없다면 서로 다른 이미지들을 적절히 교차해서 써 보자. 훨씬 더 탄 력적이고 긴장감이 높은 시를 만들 수 있다

6) 이미지 너머의 것을 생각해 보자. 보이는 것의 미세한 움직임을 따라가다 보 면 너머의 것이 보인다. 보인다면 과감히 잡아라 . 보이는 것보다 더 명료하 게 그려내라.

'시창작의 기초 학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작법 제 11강 話者와 語調   (0) 2011.03.02
시작법 제 10강 비유연습   (0) 2010.12.09
시작법 제 8강  (0) 2010.11.30
시작법 7강   (0) 2010.09.11
시작법 6강 대상과의 거리  (0) 2010.07.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