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00년된 블랙박스 열렸다, 백제 비밀 담긴 무령왕 황금무덤
강혜란 입력 2021. 02. 23. 11:16 수정 2021. 02. 23. 11:52 댓글 40개
[무령왕릉 발굴 50년, 역사를 바꾸다] ⓵
무령왕릉 출토 유물 중 왕의 금제관식(관 꾸미개). [사진 국립공주박물관]
■ 무령왕릉 50년, 졸속 발굴이 문화재과학 초석 되다
「 “이 무덤은 백제 사마왕과 왕비의 무덤입니다.”
1971년 7월 8일 흥분을 억누르며 김원룡 발굴단장(당시 국립중앙박물관장)이 말했다. 벽돌로 덮어 쌓은 아치형 무덤 입구 한쪽을 가까스로 빠져나온 직후였다. 벌떼처럼 둘러싼 기자들이 “사마왕이 누구냐”고 물었다. 한국 역대 왕조 연표를 들어 확인시켜준 공식 시호는 백제 25대 무령왕. 521년 ‘갱위강국(更爲强國, 다시 강국이 되다)’을 선포한 백제 중흥의 군주 무령왕의 무덤이 약 1500년 만에 침묵을 깬 순간이었다. 2021년은 무령왕릉 발굴 50주년이자 무령왕의 갱위강국 선포 1500주년. “한국 고고·역사학을 바꾼 기념비적 발굴” “되풀이돼선 안 될 실패의 거울”로 동시 조명되는 무령왕릉을 통해 문화재 발굴과 보존과학 50년을 3회에 걸쳐 돌아본다.
」
천마총·황남대총·무용총·쌍영총…. 신라·고구려의 고분들은 대체로 ‘총’으로 끝나는데 왜 무령왕릉은 ‘능’일까. 이런 의문을 품은 적 있다면 1500년 된 고대사 ‘블랙박스’를 열어젖힐 준비가 됐다. 그만큼 무령왕릉은 백제사를 푸는 열쇠다. 1971년 7월 5일 배수로 공사인부의 삽날 끝에 무덤 벽돌이 걸리지 않았다면 백제사, 아니 삼국사 전체가 오래도록 암흑이었을지 모른다.
“총 17점의 국보가 나왔는데, 단일무덤에서 이렇게 나온 경우가 없죠. 그 중 첫 손에 꼽는 게 지석입니다. 삼국시대 어느 무덤에도 없던 유물의 절대 편년을 제시함으로써 고고학과 고고미술사 발전의 결정적 계기가 됐습니다.”
올 상반기 무령왕에 관한 대중역사서 『끝나지 않은 신화』를 출간하는 정재윤 공주대 교수(사학과)의 설명이다. 여기서 말하는 지석은 국보 163호로 묘지석, 능석이라고도 불리는 돌판이다. 땅을 사서 무덤을 쓴다는 내용도 들어 있어 매지권라고도 불린다. 무령왕릉에선 왕과 왕비의 지석이 각각 나왔다. 왕의 지석엔 ‘영동대장군 백제 사마왕’이라는 이름과 함께 계묘년(523년) 사망했다고 기록돼 있다. 출생, 재위, 사망 연도가 이렇게 확실한 삼국시대 고분은 무령왕릉이 유일하다.
━
삼국시대 주인공이 밝혀진 유일한 왕릉
일반적으로 왕이나 왕비의 무덤은 능이라 하고(태릉, 정릉 등) 일반인의 무덤은 ‘~묘’라고 한다. 총은 왕에 준하는 사람 무덤 같긴 한데 주인공을 알 수 없는 경우 붙이는 이름. 예컨대 천마총 발굴 당시 경주 김씨 종친회에서 “신라 왕릉이 확실한데 왜 천마총이라 부르느냐”며 들고 일어났어도, 누구 무덤인지 알 수가 없어 묵살되기도 했다. 무령왕릉과 천마총 발굴에 잇따라 참여했던 지건길 전 국립중앙박물관장은 “신라 무열왕릉도 있긴 하지만 실제 위치가 특정되거나 발굴이 이뤄진 건 아니다. 고고·역사학계가 인정하는 삼국시대 ‘능’은 무령왕릉 뿐”이라고 강조했다.
무령왕릉 발굴 당시 연도 상부 세부 노출 상태. [사진 국립문화재연구소]
무령왕릉 출토 유물 중 석수(진묘수)와 지석(묘비석). [사진 국립문화재연구소]
무령왕릉 출토 유물 중 왕의 묘지석에 '영동대장군 백제 사마왕'이라고 적힌 부분. '사마'는 무령왕의 생전 이름이다. [사진 국립공주박물관]
게다가 무령왕릉은 일제강점기 때 발굴·도굴되지 않은 유일한 백제 고분이다.(이렇게 손을 안 탄 무덤을 ‘처녀분’이라 불렀는데, 요즘 언어 사용에선 기피되는 단어다.) 널리 알려진 대로 공주 백제 유적은 일제강점기 공주고보교사로 일한 일본인 가루베 지온(輕部慈恩, 1897~1970)에 의해 샅샅이 털렸다. 가루베는 공주를 떠날 무렵인 1940년 스스로 “백제 고분 1000기 이상을 조사했다”고 말하기도 했다. 설사 가루베가 훼손한 게 아니라 해도 백제 고분 구조가 신라에 비해 도굴이 쉬운 편이다. 최병현 숭실대 명예교수는 “신라의 적석목곽분(돌무지덧널무덤)은 도굴꾼이 무너뜨리지 않고 유물을 빼돌리기 힘든 반면, 백제는 돌방무덤 아니면 전축분(벽돌무덤)이라 입구가 한번 노출되면 훼손이 쉽다”고 설명했다. 그런데 송산리 6호분 바로 옆에 위치했던 무령왕릉은 기적적으로 가루베 혹은 여느 도굴꾼의 눈을 피해, 1500년 만에 고스란히 실체를 드러냈다.
━
국보 17점 쏟아진 '백제 고분예술의 정수'
온전히 보존됐다 하더라도 백제 고분은 상대적으로 부장품이 적은 편이다. 가루베가 빼돌렸을 유물도 간 곳을 알길 없다. 그런데 무령왕릉에선 국보 17점을 포함한 유물 수천점이 쏟아졌다. 특히 얇은 금판을 자유자재로 구사한 정교한 금속 공예는 황홀한 예술성의 경지다. 엇비슷해 보여도 왕 관모장식(관 꾸미개)은 타오르는 여러 겹의 불꽃 모양이고 왕비 것은 막 피어오르는 연꽃을 닮았다. 총 5쌍의 금귀걸이와 2개의 금목걸이는 ‘검소하되 누추하지 않다’(儉而不陋, 검이불루)는 백제미의 진수가 배어 있다. 정교한 신수무늬거울(神獸鏡)과 은탁잔, 은팔찌의 자태까지 경이롭지 않은 게 없다.
무령왕릉 출토 유물 중 왕의 금귀걸이. [사진 국립공주박물관]
무령왕릉 출토 유물 중 왕비의 베개. [사진 국립공주박물관]
무령왕릉 출토 유물 중 글자를 새긴 용무늬 팔찌. 팔찌 안쪽에 대부인(大夫人)을 위해 ‘다리’라는 장인이 만들었다고 새겼다. [사진 국립공주박물관]
이 같은 유물들은 묘지석의 절대편년에 힘입어 뚜렷한 역사성을 지니게 됐다. 나아가 후속 연구로 밝혀진 소재·양식 등은 당대 동아시아 무역교류에 중요한 시사점을 준다. 정재윤 교수는 “중국제 청자·동전꾸러미, 일본산 금송으로 된 관 재료, 동남아 원료인 구슬 유물 등을 통해 6세기 백제의 위상을 재확인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최장열 국립공주박물관 학예연구실장도 “고대 역사서인 『삼국사기』 『삼국유사』가 신라 위주로 쓰인데다 백제 유적이 극히 적은 편인데, 무령왕릉 덕에 공주시와 백제사 고고학자들이 먹고 살 수 있다”며 웃음기를 섞어 강조했다.
━
6세기 한·중·일 교류 밝힌 기념비적 발굴
권오영 서울대 교수(국사학)는 “6세기 전반은 백제, 양나라(중국), 일본 간에 유례없이 교류가 활발하던 시기”라면서 “한·중·일, 나아가 동남아까지 학문과 예술이 교류한 흔적이 무령왕릉에 고스란히 남아 있다”고 짚었다. 2015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송산리 고분군을 포함한 백제역사지구가 등재됐을 때도 이 같은 ‘백제 유물의 세계성’이 적극 강조됐음은 물론이다.
무령왕릉 발굴은, 그러나 빛과 어둠이 공존한다. 이렇게 화려하고 값진 유물을 무덤에서 내보내는 데 걸린 시간은 불과 12시간. “쓸어담았다”는 표현이 걸맞을 정도의 ‘초고속 발굴’이었다. 공사인부의 삽날 끝에 벽돌이 걸린 때로부터 발굴단이 손을 털고 나온 7월 9일 오전까지 불과 5일. 누가 등이라도 떠민 걸까. 1971년 7월 발굴단을 휘감았던 강박은 대체 무엇일까. 그날 밤 공주 송산리에선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
백제 무령왕릉의 내부 모습. 1971년 발굴된 무령왕릉은 내부 보호를 위해 1997년 영구폐쇄됐다. [중앙포토]
〈2편으로 계속〉
취재·글=강혜란 기자, 그래픽·영상= 심정보·이세영
theother@joongang.co.kr
Copyrightⓒ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유물과의 대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마니 속 파편들 맞춰 금동신발 복원…“이젠 보존과학 시대” (0) | 2021.02.25 |
---|---|
귀신 홀린 듯 가마니에 퍼담았다...1박2일 아수라장 무령왕릉 (0) | 2021.02.25 |
67년간 매일 쓴 조선시대 일기 ‘노상추일기’ 완역 (0) | 2021.02.15 |
북한산성 쌓은 장태흥, 국보 '기사계첩' 그린 장태흥이었다 (0) | 2021.02.07 |
위정척사파의 태두 최익현의 파란만장한 일생 (0) | 2021.0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