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 권력과 바꿔치기 한 안보 - 조선 문약의 원인
경기도 연천 임진강변, 고구려 때 만든 호로고루 절벽 위 만든 군사 요새
고구려~고려 유물 발굴… 조선 유물은 출토 안 돼
군인 이성계가 건국한 조선 최정예 부대인 갑사(甲士)
녹봉 줄 재원 부족해지자 신분, 경제력으로 응시자격 제한해 질적 추락… 양반 계층은 무관 외면
군사 비전문가가 지휘한 임란 초기 전투 모두 대참패
평양 함락 임박하자 문신들, "적들 못 오게 비 내려달라" 단군, 기자, 동명왕에 기우제
비전문가들의 국가 운영… 선조 "조선에 군사는 없다"
1488년 명나라 사신 동월이 쓴 '조선부(朝鮮賦)'에는 이렇게 적혀 있다. '양반 자식들은 독서를 할 뿐 기예를 익히지 않는다(兩班子弟止許讀書 不習技藝·양반자제지허독서불습기예).' '기예'는 생산, 제조업을 뜻한다.
105년 뒤 조선을 찾은 명나라 관리 유황상이 선조에게 말했다. "귀국은 고구려 때부터 강국이었지만 농사와 독서에만 치중한 탓으로 변란을 초래한 것이다(唯事耕田讀書 馴致此變·유사경전독서 순치차변)."(1593년 6월 5일 '선조실록') 임진왜란 개전 이듬해다. 군인 이성계가 나라를 세운 지 100년 만에 외국 외교관 눈에 책만 읽는 나라로 보였던 그 나라가, 또 100년 뒤 책만 읽다가 외국군에 의해 초토화된 기이한 이야기.
호로고루의 교훈과 문약(文弱)
경기도 연천 임진강변 절벽 위 호로고성은 옛 고구려 요새다. 임진강을 사이에 두고 고구려와 신라가 쟁패할 때 고구려가 만든 성채다. 규모가 작아 고성 대신 고루라고도 한다. 이름은 임진강 옛 이름 '호로하'를 따서 명명됐다. 한 면만 평지라 그쪽에 성곽을 쌓고 나머지는 자연 절벽을 방어선으로 썼다.
여울이 얕은 절벽 아래 고랑포는 강 남북에서 침략하기에도 방어하기에도 딱 좋았다. 그 여울로 5세기에 장수왕이 신라를 침략했고 그 여울 위 얼음을 딛고 20세기 김신조 부대가 남으로 내려왔다.
105년 뒤 조선을 찾은 명나라 관리 유황상이 선조에게 말했다. "귀국은 고구려 때부터 강국이었지만 농사와 독서에만 치중한 탓으로 변란을 초래한 것이다(唯事耕田讀書 馴致此變·유사경전독서 순치차변)."(1593년 6월 5일 '선조실록') 임진왜란 개전 이듬해다. 군인 이성계가 나라를 세운 지 100년 만에 외국 외교관 눈에 책만 읽는 나라로 보였던 그 나라가, 또 100년 뒤 책만 읽다가 외국군에 의해 초토화된 기이한 이야기.
호로고루의 교훈과 문약(文弱)
경기도 연천 임진강변 절벽 위 호로고성은 옛 고구려 요새다. 임진강을 사이에 두고 고구려와 신라가 쟁패할 때 고구려가 만든 성채다. 규모가 작아 고성 대신 고루라고도 한다. 이름은 임진강 옛 이름 '호로하'를 따서 명명됐다. 한 면만 평지라 그쪽에 성곽을 쌓고 나머지는 자연 절벽을 방어선으로 썼다.
여울이 얕은 절벽 아래 고랑포는 강 남북에서 침략하기에도 방어하기에도 딱 좋았다. 그 여울로 5세기에 장수왕이 신라를 침략했고 그 여울 위 얼음을 딛고 20세기 김신조 부대가 남으로 내려왔다.
1592년 4월 그믐밤 조선 14대 임금 선조는 바로 이 고랑포 남서쪽 임진나루를 건너 북쪽으로 달아났다. 류성룡이 쓴 '징비록'에 따르면 선조 일행은 나루터 사무실 '승청(丞廳)'을 불태워 길을 밝힐 정도로 모든 것이 열악했다. 군인 이성계가 세운 나라 꼬락서니가 비참하게 변해버린 근본적인 이유는, 얼치기 정치가들이 권력과 엿 바꿔먹은 안보 정책이었다.
강국 조선의 초기 군사력
조선은 강했다. 개국을 주도했던 이성계는 원나라 다루가치 가문 출신 무장(武將)이었다. 그 군사력과 정도전이 끌어온 성리학 이념이 결합해 만든 나라가 조선이었다. 조선은 강했다. 1445년에는 세종이 신무기 개발을 완료한 뒤 "옛 무기가 우스운 일임을 알았다(今乃知其爲可笑也·금내지기위가소야)"며 기존 무기 파기를 지시할 정도로 강국이었다.(1445년 3월 30일 '세종실록') 병력도 많았다. 30년 뒤인 1475년 9월 병조(兵曹) 보고에 따르면 조선 총 병력은 14만8449명이었다. 병역의무를 수행하는 정병과 수병은 12만909명이었다.(1475년 9월 8일 '성종실록')
최정예 부대 갑사(甲士)
조선 건국 8년 만인 1400년 이성계의 다섯째 아들 이방원이 왕자의 난을 평정하고 세자에 책봉됐다. 손위 형인 이방간이 일으킨 2차 왕자의 난이다. 그해 11월 왕이 된 후 이방원이 내린 첫 조치는 사병(私兵) 혁파였다. 개국에 절대적 공을 세웠던 각 공신의 군사력을 빼앗아버린 것이다. 이 사병들 가운데 훗날 국왕 친위병으로 변신한 이성계 휘하 군사를 사람들은 갑사(甲士)라 불렀다.
여타 공신 사병들이 혁파되니 갑사는 자연히 조선 왕국 공식 부대가 되었다. 여러 군사 가운데 갑사는 가장 정예한 군사로 인정받는 직업군인이었다.(1440년 4월 14일 '세종실록') 무술 시험에 합격해야 자격을 주는 실력파 무사들이었다. 조선 백성이라면 누구나 응시할 수 있었고, 합격하면 고위직까지 오를 수 있는 훌륭한 직업이었다.
문제는 이 직업군인에게 지급할 녹봉, 땅이 부족했다는 사실이다. 태종 때 2000명이던 갑사를 3000명으로 증원하면서 토지 부족 문제가 터졌다. 중앙 관리들에게 주는 녹봉 10만석 가운데 6만3000석이 갑사에게 줄 땅이었다.(김종수, '조선후기 중앙군제연구', 혜안, 2003, p31) 왕국 재정을 위태롭게 하는 사태가 벌어졌다. 토지 확보 혹은 다른 방식을 통한 급여 지급 대신, 왕국 정부는 희한한 대책을 내놓았다.
최정예 부대의 추락
응시 자격을 제한해버린 것이다. '보증인(보거·保擧)과 나이(연갑·年甲)와 4대조까지 가문 이력(사조단자·四祖單子)을 먼저 바치도록 한다.'(1423년 7월 25일 '세종실록')
강국 조선의 초기 군사력
조선은 강했다. 개국을 주도했던 이성계는 원나라 다루가치 가문 출신 무장(武將)이었다. 그 군사력과 정도전이 끌어온 성리학 이념이 결합해 만든 나라가 조선이었다. 조선은 강했다. 1445년에는 세종이 신무기 개발을 완료한 뒤 "옛 무기가 우스운 일임을 알았다(今乃知其爲可笑也·금내지기위가소야)"며 기존 무기 파기를 지시할 정도로 강국이었다.(1445년 3월 30일 '세종실록') 병력도 많았다. 30년 뒤인 1475년 9월 병조(兵曹) 보고에 따르면 조선 총 병력은 14만8449명이었다. 병역의무를 수행하는 정병과 수병은 12만909명이었다.(1475년 9월 8일 '성종실록')
최정예 부대 갑사(甲士)
조선 건국 8년 만인 1400년 이성계의 다섯째 아들 이방원이 왕자의 난을 평정하고 세자에 책봉됐다. 손위 형인 이방간이 일으킨 2차 왕자의 난이다. 그해 11월 왕이 된 후 이방원이 내린 첫 조치는 사병(私兵) 혁파였다. 개국에 절대적 공을 세웠던 각 공신의 군사력을 빼앗아버린 것이다. 이 사병들 가운데 훗날 국왕 친위병으로 변신한 이성계 휘하 군사를 사람들은 갑사(甲士)라 불렀다.
여타 공신 사병들이 혁파되니 갑사는 자연히 조선 왕국 공식 부대가 되었다. 여러 군사 가운데 갑사는 가장 정예한 군사로 인정받는 직업군인이었다.(1440년 4월 14일 '세종실록') 무술 시험에 합격해야 자격을 주는 실력파 무사들이었다. 조선 백성이라면 누구나 응시할 수 있었고, 합격하면 고위직까지 오를 수 있는 훌륭한 직업이었다.
문제는 이 직업군인에게 지급할 녹봉, 땅이 부족했다는 사실이다. 태종 때 2000명이던 갑사를 3000명으로 증원하면서 토지 부족 문제가 터졌다. 중앙 관리들에게 주는 녹봉 10만석 가운데 6만3000석이 갑사에게 줄 땅이었다.(김종수, '조선후기 중앙군제연구', 혜안, 2003, p31) 왕국 재정을 위태롭게 하는 사태가 벌어졌다. 토지 확보 혹은 다른 방식을 통한 급여 지급 대신, 왕국 정부는 희한한 대책을 내놓았다.
최정예 부대의 추락
응시 자격을 제한해버린 것이다. '보증인(보거·保擧)과 나이(연갑·年甲)와 4대조까지 가문 이력(사조단자·四祖單子)을 먼저 바치도록 한다.'(1423년 7월 25일 '세종실록')
군인을 충원하는 데 응시생의 네트워크와 가문과 경제력을 기준으로 삼겠다는 뜻이다. 갑사는 더 이상 국방과 안보를 위한 조직이 아니었고, '갑사 시험을 위해 구름처럼 경성으로 몰려오는'(1448년 3월 3일 '세종실록') 사람들도 목적은 신분 상승이지 군인직 취직이 아니었다. 결국 땅과 노비 소유 여부(田民多少·전민다소)가 갑사 충원의 기본적인 기준이 돼 버렸다.
결국 최정예 갑사는 활쏘기와 말 타기를 대리시험 보거나 남의 집 족보를 달달 외우고 들어오는 수험생 때문에 쑥대밭이 돼 버렸다.(1528년 11월 3일 '중종실록') 사격술 시험인 활쏘기 또한 180보에서 80보로 사격 거리를 줄여야 겨우 합격할 정도였으니 전투력 추락은 불문가지였다.(1495년 8월 25일 '연산군일기', '조선후기 중앙군제연구' p42 재인용)
무관 천시와 특권 병과
갑사를 통해 신분 상승을 꿈꾸던 일반 백성은 앞길이 막혔다. 양반 계급에서는 이미 무관 천시 풍조가 나타나고 있었다. 성리학이 부동의 이념으로 자리 잡던 명종 때, "유생 한 명을 얻으면 군졸 한 명을 잃는다 해도 무슨 해가 되겠는가"라는 건의에 명종은 유생들에게 군역 면제 조치를 내렸다.(1554년 9월 12일 '명종실록') 문관으로 임용되면 군역이 면제되니 무관은 더욱 천시됐다.
게다가 조선 정부는 충의위, 충찬위, 충순위라는 '충(忠)' 자 특수군을 운영했다. 이들은 실력으로 국방을 담당할 부대가 아니라, '무능한 지배계층 자제에 대한 경제적인 기반을 마련해주고 우수한 자들에겐 벼슬길을 마련해주려는' 병종이었다.(차문섭, '조선시대 군제연구', 단대출판부, 1973, p2) 갑사와 함께 조선군의 절대다수인 의무 병과 정병(丁兵)은 군포만 대납하고 실제 복무에서 빠졌으니 이 또한 군사력 약화의 절대적인 원인이었다.
비전문가들이 벌인 패전들
그런 상황에서 임진왜란이 터진 것이다. 개전 보름 만에 임진나루에서 조선군과 일본군이 대치 상태에 돌입했다. 어느 순간 일본군이 일제히 퇴각을 개시했다. 순찰사 한응인이 즉각 추격전을 명했다. 대기해 있던 평안도 주둔군 부대장이 "유인책이니 예의 주시해야 한다"고 했다. 한응인은 주저하는 병사 몇 목을 베고 진군을 명했다. 그러자 무장 유극량이 "죽음이 두려운 게 아니라 나랏일을 그르칠까 두렵다"며 분개해서 병사들과 함께 출정했다. 유극량과 병졸은 모두 매복한 일본군에 죽었다. 궤멸되는 유극량 부대를 지켜본 한응인은 도주했다.(1592년 5월 1일 '선조수정실록')
그 무렵 강원도 부사령관 원호가 경기도 여주 신륵사 앞 여울에서 적과 대치했다. 갑자기 강원도 감사 유영길로부터 복귀령이 떨어졌다. 조선군이 강원도로 사라지자 일본군은 곧바로 여울을 도강해 한양으로 진군했다. 금화전투에 투입된 원호는 매복 중이던 일본군에 포위돼 전사했다.(1592년 6월 1일 '선조수정실록')
평양까지 도망간 선조 일행에게 다시 위기가 닥쳤다. 대동강 강물이 줄어들어 일본군의 도강(渡江)이 임박했다는 것이다. '(왕이) 재신들을 단군묘, 기자묘, 동명왕묘에 보내 비를 기원하게 했지만 비는 여전히 내리지 않았다.'(류성룡, '징비록') 6월 11일 국왕 일행이 영변으로 다시 도주했다. 백성들이 길을 가로막고 "국록만 훔쳐먹다가 나라를 그르치고 백성을 속이는가"라고 꾸짖었다.(6월 1일 '선조수정실록') 6월 18일 임진강에서 도주했던 한응인이 보고했다. "왜적이 대동강을 건너자 군졸이 일시에 흩어졌다." 선조는 "갑사, 정병 따위는 군사도 아니니 (국왕 친위대인) 금군(禁軍) 200~300명 빼고 조선에 군사는 없다"고 선언했다.(1593년 윤11월 2일 '선조실록')
*
대한민국 시대 발굴된 호로고루에서는 그 어떤 조선 군사시설 유물도 나오지 않았다. 재활용하고 확장해도 모자랄 요새를 조선 정부는 방치해버린 것이다. 임진강 전투 패전을 자초한 한응인, 금화전투 작전을 지시한 강원감사 유영길은 군사에 무지한 문신들이었다.
아주 훗날 구한말 원세개 섭정 치하에서 고종이 만든 무기공장 번사창(서울 삼청동 금융연수원 안에 있다)은 번듯한 무기 생산을 하기도 전에 나라가 해체돼 버렸다. 목적 잃은 군 운용시스템이 19세기 말까지 그대로 간 탓이다. 적 앞에서 기우제를 지내며 전문가연하면서 나라를 찢어발긴 비전문가들의 적나라한 흔적이 호로고루요 번사창이다.
결국 최정예 갑사는 활쏘기와 말 타기를 대리시험 보거나 남의 집 족보를 달달 외우고 들어오는 수험생 때문에 쑥대밭이 돼 버렸다.(1528년 11월 3일 '중종실록') 사격술 시험인 활쏘기 또한 180보에서 80보로 사격 거리를 줄여야 겨우 합격할 정도였으니 전투력 추락은 불문가지였다.(1495년 8월 25일 '연산군일기', '조선후기 중앙군제연구' p42 재인용)
무관 천시와 특권 병과
갑사를 통해 신분 상승을 꿈꾸던 일반 백성은 앞길이 막혔다. 양반 계급에서는 이미 무관 천시 풍조가 나타나고 있었다. 성리학이 부동의 이념으로 자리 잡던 명종 때, "유생 한 명을 얻으면 군졸 한 명을 잃는다 해도 무슨 해가 되겠는가"라는 건의에 명종은 유생들에게 군역 면제 조치를 내렸다.(1554년 9월 12일 '명종실록') 문관으로 임용되면 군역이 면제되니 무관은 더욱 천시됐다.
게다가 조선 정부는 충의위, 충찬위, 충순위라는 '충(忠)' 자 특수군을 운영했다. 이들은 실력으로 국방을 담당할 부대가 아니라, '무능한 지배계층 자제에 대한 경제적인 기반을 마련해주고 우수한 자들에겐 벼슬길을 마련해주려는' 병종이었다.(차문섭, '조선시대 군제연구', 단대출판부, 1973, p2) 갑사와 함께 조선군의 절대다수인 의무 병과 정병(丁兵)은 군포만 대납하고 실제 복무에서 빠졌으니 이 또한 군사력 약화의 절대적인 원인이었다.
비전문가들이 벌인 패전들
그런 상황에서 임진왜란이 터진 것이다. 개전 보름 만에 임진나루에서 조선군과 일본군이 대치 상태에 돌입했다. 어느 순간 일본군이 일제히 퇴각을 개시했다. 순찰사 한응인이 즉각 추격전을 명했다. 대기해 있던 평안도 주둔군 부대장이 "유인책이니 예의 주시해야 한다"고 했다. 한응인은 주저하는 병사 몇 목을 베고 진군을 명했다. 그러자 무장 유극량이 "죽음이 두려운 게 아니라 나랏일을 그르칠까 두렵다"며 분개해서 병사들과 함께 출정했다. 유극량과 병졸은 모두 매복한 일본군에 죽었다. 궤멸되는 유극량 부대를 지켜본 한응인은 도주했다.(1592년 5월 1일 '선조수정실록')
그 무렵 강원도 부사령관 원호가 경기도 여주 신륵사 앞 여울에서 적과 대치했다. 갑자기 강원도 감사 유영길로부터 복귀령이 떨어졌다. 조선군이 강원도로 사라지자 일본군은 곧바로 여울을 도강해 한양으로 진군했다. 금화전투에 투입된 원호는 매복 중이던 일본군에 포위돼 전사했다.(1592년 6월 1일 '선조수정실록')
평양까지 도망간 선조 일행에게 다시 위기가 닥쳤다. 대동강 강물이 줄어들어 일본군의 도강(渡江)이 임박했다는 것이다. '(왕이) 재신들을 단군묘, 기자묘, 동명왕묘에 보내 비를 기원하게 했지만 비는 여전히 내리지 않았다.'(류성룡, '징비록') 6월 11일 국왕 일행이 영변으로 다시 도주했다. 백성들이 길을 가로막고 "국록만 훔쳐먹다가 나라를 그르치고 백성을 속이는가"라고 꾸짖었다.(6월 1일 '선조수정실록') 6월 18일 임진강에서 도주했던 한응인이 보고했다. "왜적이 대동강을 건너자 군졸이 일시에 흩어졌다." 선조는 "갑사, 정병 따위는 군사도 아니니 (국왕 친위대인) 금군(禁軍) 200~300명 빼고 조선에 군사는 없다"고 선언했다.(1593년 윤11월 2일 '선조실록')
*
대한민국 시대 발굴된 호로고루에서는 그 어떤 조선 군사시설 유물도 나오지 않았다. 재활용하고 확장해도 모자랄 요새를 조선 정부는 방치해버린 것이다. 임진강 전투 패전을 자초한 한응인, 금화전투 작전을 지시한 강원감사 유영길은
아주 훗날 구한말 원세개 섭정 치하에서 고종이 만든 무기공장 번사창(서울 삼청동 금융연수원 안에 있다)은 번듯한 무기 생산을 하기도 전에 나라가 해체돼 버렸다. 목적 잃은 군 운용시스템이 19세기 말까지 그대로 간 탓이다. 적 앞에서 기우제를 지내며 전문가연하면서 나라를 찢어발긴 비전문가들의 적나라한 흔적이 호로고루요 번사창이다.